금융위 "국내 주식도 소수점 단위 거래 허용"
금융당국이 국내 주식에서 ‘주식 수’가 아닌 ‘금액’ 단위로 거래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현재는 해외 주식만 제한적으로 금액 단위 거래가 가능하다.
금융위원회는 20일 이런 내용을 담은 금융규제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현재 국내 주식은 최소 1주 단위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주당 5만5400원(19일 종가 기준)인 삼성전자 주식을 사려면 최소 5만5400원은 넣어야 한다는 얘기다. 만약 삼성전자 주식을 소수 단위로 쪼개 0.1주를 살 수 있다고 가정하면 매수에 드는 비용은 10분의 1인 5540원으로 줄어든다.
소수점 매매는 금액 단위 주식거래에도 유리하다. 지금은 5만원만 갖고는 삼성전자 주식을 한 주도 살 수 없다. 소수점 매매가 허용되면 5만원으로 삼성전자 0.865주(소수점 셋째 자리 기준)를 사는 게 가능해진다.
해외 주식은 이미 소수점 매매가 이뤄지고 있다. 금융위가 신한금융투자와 한국투자증권의 해외 주식 소수점 서비스를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해 자본시장법상 구분예탁 의무 등 각종 규제를 풀어줬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소수점 매매 허용으로 금액 단위 거래가 가능해지면 ‘2030세대’를 중심으로 한 개인투자자의 증시 유입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소액으로도 고가 우량주 등을 한 바구니에 담는 포트폴리오 분산 투자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국내 주식 소수점 매매 제도화를 위한 업계수렴 및 컨설팅 등을 거쳐 연말까지 규제 정비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지난해 4월부터 핀테크(금융기술) 등 혁신적 기술을 활용한 기업들에 규제 적용을 한시적으로 유예해주는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운영해왔다. 그간 110건이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됐고, 그 중 51건이 시장에 출시됐다.
금융위는 샌드박스를 통한 테스트 결과 개선 필요성이 입증된 27개 규제를 우선 정비하기로 했다. 금액 단위 주식 거래를 위해 필요한 소수점 매매 관련 규제가 대표적이다.
오형주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뉴스
"테슬라 씽씽, 니콜라 털썩" 美 미래차株 희비 엇갈리는데…현대차에 쏠린 눈
미국 미래차 대표 종목 2개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전기차기업 테슬라는 최근 주가가 재상승중이지만 수소차를 대표하는 니콜라는 지난달 크게 하락한 뒤 지지부진하다. 국내 증시 투자자의 관심은 현대차로 모아진다. 수소차 시장을 적극 개척해온 현대차는 지난달 중순 이후 급등한 뒤 최근 며칠간 조정을 받고 있다.투자자들은 현대차가 니콜라처럼 하락하지는 않을지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니콜라보다는 테슬라의 궤적을 따라갈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분위기다. 상승폭이 니콜라보다 훨씬 작아 밸류에이션(100주 유지키로 - 인사이드비나 실적 대비 주가 수준) 부담이 작고, 막연한 기대감을 넘어 이미 미래차 분야에서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테슬라 주가 오르는데…테슬라는 지난 19일(현지시간) 1878.53달러에 장을 마쳤다. 올 들어 급등한 테슬라는 연초 이후 지난달 20일(1643.00달러)까지 292.75% 상승했다. 이후 횡보하다가 이달 11일(1374.39달러)부터 다시 상승을 시작해 이날까지 36.68% 추가로 올랐다. 주식 1주를 5주로 쪼개는 액면분할을 하겠다고 발표한 게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이런 모습은 니콜라와 대비된다. 니콜라는 5월6일(13.18달러)부터 6월9일(79.73달러)까지 504.93% 폭등했지만 이후 하락 반전했다. 지난달 20일 이후로는 40달러 근처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날은 고점 대비 46.66% 떨어진 42.53달러에 마감했다.테슬라와 니콜라의 주가가 엇갈리는 건 ‘PDR(price to dream ratio)의 현실화’와 관련 있다. 테슬라는 올 2분기에 네 분기 연속 흑자를 내며 S&P500지수 편입 요건을 충족했다. 미국, 중국, 독일 등지에서 공장을 신설하거나 생산라인을 확대하는 등 파이를 점점 키우고 있다. 올해 연간 판매 목표는 50만대에 달한다. 지난해 판매 대수 36만7500대보다 10만대 이상 많다. 니콜라는 급락해 횡보반면 니콜라는 아직 수소차를 한 대도 판매하지 못했다. 개발중이라는 말만 무성하다.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 쓰레기 수거업체와 수소트럭 2500대 납품 계약을 맺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주가가 당일 22.03% 오르기는 했다. 그러나 이전 수준으로 되돌리기에는 당시의 밸류에이션 부담이 너무 컸다.최근 니콜라는 현대차에 협력을 제안했지만 현대차의 반응은 미적지근하다. 당장 협력이 성사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현대차의 수소차 기술력이 니콜라보다 뛰어나 현대차가 얻을 게 없기 때문이다.일부에서 나오는 니콜라의 기술력에 대한 회의론도 주가가 오르는 걸 막고 있다. 앞서 블룸버그 등 미국 언론은 니콜라의 기술력이 과장됐다는 취지의 보도를 했다. 미국 투자자들은 만능 질병 진단 키트를 개발했다고 거짓말을 해 천문학적인 투자를 유치했던 엘리자베스 홈스의 테라노스 사례를 언급하며 니콜라에 의혹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현대차, PDR 현실화”반면 현대차는 이미 2년 전부터 수소차를 만들어 시중에 판매하고 있다. 수소 완성차를 만들 수 있는 곳은 세계적으로 현대차, 도요타, 혼다 정도에 불과한데 그중에서도 현대차의 판매량이 가장 많다.현대차 주가가 많이 올랐지만 아직 니콜라에 비하면 더 오를 여지가 높다는 것도 긍정적이다. 현대차는 지난달 10일(9만8300원)부터 이달 20일(15만5000원)까지 57.68% 올랐다. 한때 500% 넘게 올랐던 니콜라에 비하면 크게 오른 건 아니다. 현대차의 주기수익비율(PER)은 15.29배로 아직 업종 평균(17.35배)에도 못미친다.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차는 최근 수소차 관련 경쟁력이 주가에 반영되기 시작했지만 아직 완전히 되지는 않았다”며 “더 오를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고 말했다.양병훈 기자 [email protected]
"신용대출 늘어난다" 지적에…금융위, 은행에 '구두 경고'
최근 급증하고 있는 신용대출과 관련해 금융위원회가 금융권에 '경고'를 보냈다.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사진)은 19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에서 "주식‧주택 매매에 활용된 신용대출은 향후 시장 불안 시 금융회사 건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금융회사 차원에서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당국이 사실상 '구두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했다.손 부위원장은 "전 금융권의 신용대출 증가액이 예년에 비해 높은 수준이고, 6월 이후 증가폭이 더욱 확대됐다"고 진단했다. 신용대출 증가액은 올 4월 6000억원에 그쳤으나 5월 1조1000억원, 6월 3조7000억원, 7월 4조원 등으로 가파르게 늘고 있다.금융위는 이런 증가세가 주식매매자금, 코로나19에 따른 생활안정자금, 주택시장 과열에 따른 긴급 매매자금 등 여러 수요가 맞물린 복합적 현상이라고 보고 있다.손 부위원장은 "과도한 신용대출이 주택시장 불안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현재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비율 준수 등 관련 규정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금융당국은 신용대출, 전세대출 등을 중심으로 가계 부채 전반에 걸쳐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다.임현우 기자 [email protected]
대신증권, 소외층 학생에 31년째 '사랑의 장학금'
대신증권의 사회공헌재단인 대신송촌문화재단(이사장 양홍석 대신증권 사장)이 올해로 설립 31주년을 맞았다. 재단은 출범 후 지난해까지 경제적 상황이 어려운 학생 5173명에게 약 70억원의 장학금을 전달했다. 몸이 아픈 어린이 수백 명에게 치료비를 후원하기도 했다.“기업의 이익을 사회에 환원해 조화롭고 균형있는 사회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고(故) 양재봉 대신증권 창업자의 철학에 따른 것이다.재단은 양재봉 창업자가 1990년 사재 1억원을 출연해 설립했다. 증권사가 별도의 사회공헌재단을 세운 건 당시로서는 처음이었다. 재단 이름에 포함된 ‘송촌(松村)’은 양재봉 창업자의 고향인 ‘전남 나주시 송촌동’에서 따온 것으로, 그의 아호이기도 하다.대신송촌문화재단이 주력하는 사회공헌활동은 장학사업이다. 설립 초기에는 재원이 넉넉하지 않아 많은 학생을 지원하지는 못했다. 설립 이듬해 8월에는 부산대를 비롯한 전국 5개 대학교 재학생 10명에게 546만원의 장학금을 지원했다.그러나 이후 지원 규모가 빠르게 늘어나 1994년에는 292명에게 총 1억7069만원의 장학금을 줬다. 설립한 지 5년도 안 돼 억대 장학금을 지원하는 사회공헌재단으로 발돋움한 것이다. 지금은 기본 재산 규모가 362억원에 이르는 대형 재단이 됐다.재단은 지금도 효심이 깊고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 성적 우수 학생 등을 정기적으로 선발해 1년치 수업료에 해당하는 장학금을 주고 있다. 2012년에는 고려대, 동신대, 중앙대 등 5개 대학과 전남대 대학원 등에 총 21억원에 이르는 장학금 및 대학발전기금을 전달했다.이 밖에 사회복지시설과 소년·소녀가장, 위탁 가정, 다문화 가정 등도 정기적으로 지원한다. 재단과 대신금융그룹 임직원은 명절 또는 연말에 사회복지시설 등을 정기적으로 방문해 어려운 이웃과 대화하고 생활비를 전달하고 있다.이뿐만이 아니다. 재단은 몸이 아프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이웃을 위해 의료비를 지원하는 사업을 1996년부터 해왔다. 지금까지 가정형편이 어려운 구순구개열(선천적으로 입술이나 잇몸 또는 입천장이 갈라진 것) 어린이 환자에게 총 3억8000만원 규모의 수술비 및 의료비를 기부했다.국립암센터에 발전기금 및 학술연구지원금을 지원하는 사업도 한다. 처음 시작한 2004년부터 지금까지 전달된 지원금은 4억7000만원이다. 이 후원금은 소아암환자 및 저소득층 암환자의 진료비를 지원하는 한편 암 예방과 조기 진단을 위한 연구사업, 암 관리사업 등에 쓰였다.대신금융그룹의 사회공헌활동은 최근 들어 더 다양해지고 있다. 지난 6월에는 이어룡 대신금융그룹 회장이 ‘플라워 버킷 챌린지’에 동참했다. 화훼농가에서 꽃을 구매한 뒤 이를 들고 사진을 찍어 SNS에 올리는 것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수요가 급감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훼농가를 돕자는 취지에서다.양병훈 기자 [email protected]
최소 거래단위
베트남 재정부의 주식 최소주문단위 현행 유지 방침은 국제관행을 감안하는 한편 시장의 혼란을 야기하지 않으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사진=vnexpress)
[인사이드비나=호치민, 윤준호 기자] 베트남 재정부가 주식시장의 거래 최소주문단위를 현행대로 100주로 유지하기로 했다.
응웬 득 찌(Nguyen Duc Chi) 재정부 차관은 최근 브이앤익스프레스(VnExpress)와의 인터뷰에서 “세계 대부분의 주식시장은 10주 단위로 거래하지 않는다"며 “10주로의 전환이 일반적인 투자에 적합하지 않다고 평가했고, 국제관행을 따르기 위해서는 베트남도 같은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밝혔다.
재정부는 앞서 지난해 7월부터 호치민증권거래소(HoSE)가 새 거래시스템 운용을 시작하면서 그동안 과부하를 보이던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판단, 최소 주문단위를 100주에서 10주로 낮추는 방안을 추진했는데 이를 중단하겠다는 것이다.
찌 차관은 “최소주문단위를 현행대로 유지하는 대신 단주거래(odd lot)를 허용하는 메커니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단주거래란 최소주문단위(round lot) 이하의 거래를 말한다. 단주 매매의 거래수수료는 최소주문단위 수수료보다 높은 단주차등수수료(odd-lot differential)가 적용된다.
최소주문단위가 100주로 유지되면 투자자들은 빈그룹(증권코드 VIC), 비엣콤은행(VCB), 페트로베트남가스(GAS), 마산그룹(MSN), 푸뉴언쥬얼리(PNJ 등과 같은 VN30 바스켓 종목을 매입하기 위해 수천만동(VND)를 지출해야 한다. 곧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할 수 있는 기회는 10주일 때가 유리한 셈이다. 그럼에도 현행 규정을 유지하려는 것은 국제관행 부합 외 시장의 혼란을 야기하지 않으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사실 호치민증권거래소는 지난 2000년 증시출범 당시부터 2013년까지 최소주문단위를 100주로 유지하다가 유동성 촉진을 위해 그해 10주로 줄였다. 그러나 거래량이 비교적 적었던 시기에는 이 메커니즘이 별 문제 없었으나 2020년부터 거래량이 폭증하면서 시스템이 자주 멈추는 등 혼란이 계속되자 지난해 다시 100주로 변경했다.
현재 최소주문단위가 100주인 주식시장은 SET(태국), BM(말레이시아), SGX(싱가포르), SSE(상하이) 등이 있고, 이들 대부분 증시는 단주거래를 허용하고 있다.
최소 거래단위
금융위원회 / 출처=금융위원회
금융당국이 국내외 주식의 소수단위 매매를 허용하기로 했다. 소수단위 주식투자는 올해 말 해외주식을 시작으로 허용되며 국내 주식의 경우 내년 하반기에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12일 금융위원회는 한국예탁결제원, 금융투자협회 등과 함께 ‘국내·외 소수단위 주식거래 허용방안’을 발표했다. 추후 한국예탁결제원은 소수단위 거래를 위한 별도 인프라를 구축하고 희망 증권사들이 이를 이용하게 할 계획이다.
그동안 금융위는 해외주식에 한해서만 소수단위 거래를 제한적으로 허용해 왔다. 신한금융투자, 한국투자증권 등 2개 증권사가 투자자의 소수단위 해외주식 매매주문을 합산해 부족분을 메워 '온전한 1주(온주)'를 만드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국내 주식의 경우, 최소 1주 단위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현재 상법 제329조에 따라 주식을 '1주'라는 균일한 단위로 규정하고 있으며 하나의 단위를 더 세분화 할 수는 없는 '주식 불가분의 원칙'을 명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위는 국내 주식에 대해서도 권리 분할이 용이한 ‘수익증권발행신탁’ 제도를 활용해 기존 원칙과 인프라 훼손 없이 소수 단위 거래를 실시하기로 했다. 증권사가 투자자의 소수 단위 주식주문을 취합해 온주로 만들고 증권사 명의로 한국거래소에 호가를 제출하면 예결원이 증권사로부터 온주단위 주식을 신탁받아 수익증권을 발행하는 방식이다. 투자자는 주문 수량에 따라 수익증권을 취득하게 된다.
해외 주식의 경우 투자자 소수단위 지분을 증권사 계좌부에 직접 기재하는 방식으로 거래가 이뤄진다. 예결원은 증권사 계좌부에 기재된 소수단위 주식 총량을 '소수단위 전용계좌'에 별도로 관리한다.
금융위는 "투자자는 수익증권 보유자로서 주식 배당금 등 경제적 권리를 향유한다"며 "다만 소수지분의 의결권은 원칙적으로 인정되지 않아 자본시장법에 따라 예결원이 의결권을 행사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자본시장법 등에 따라 1주당 동일한 의결권을 부여하고 있어, 이를 소수점 단위로 쪼개 다수의 투자자가 소유할 경우 해당 의결권을 어떻게 나눌지는 규정되지 않았다. 만약 투자자가 소수단위 주식을 다량 보유했을 경우에는 증권사와의 계약에 따라 온주단위로 전환해 의결권 행사 가능하다.
금융위는 "이번 제도개선을 통해 투자자는 소규모 자금으로 포트폴리오 다각화, 위험관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며 "증권사는 주식주문 등 투자자에 대해 다양하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상대적으로 자금이 적은 청년층의 진입 문턱이 낮아지면서 증권업계 전반에서도 환영하는 분위기다. 예결원에 따르면 지난해 30대 이하 투자자는 316만명으로 전년 대비 103%나 급증했다. 이들의 1인당 주식보유 금액은 20대 1174만원, 30대 2849만원으로 5000만원~1억원 이상인 40대 이상보다 훨씬 적었다.
금융당국은 “이번 제도개선 방안의 실현을 위해선 일부 자본시장법령 개정이 필요하다”며 “소수단위 주식거래를 신속히 시행해야 한다는 금융투자업계와 투자자의 의견을 감안해 혁신금융서비스 100주 유지키로 - 인사이드비나 지정을 통해 일정한 기간 동안 먼저 운영한 뒤 추후 법령개정 등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소수단위 거래가 이뤄지기까진 최대 1년여가 소요될 전망이다. 금융위는 "해외주식은 올해 중, 국내주식은 내년 3·4분기 중 서비스를 개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최근 기자는 홍콩증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코로나19로 전 세계 증시 변동성이 커진 점을 노리고 지난해 막 주식 세계에 입성한 기자가 국내와 미국 증시를 넘어 홍콩 증시까지 넘보게 된 것이다.
특히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에 유독 눈길이 갔다. 거의 매일 써야 하는 종목 소개 기사도 영향이 100주 유지키로 - 인사이드비나 됐다. 기자의 ‘관심종목’ 리스트에는 텐센트, 알리바바, 징둥닷컴을 비롯한 홍콩증시 상장 중국 기업들이 쌓여갔다.
그런데 마침 최근 중국 당국의 빅테크 규제 강화 영향으로 이들 주가가 폭삭 주저앉았다. 심장이 뛰었다. 지금이 매수 타이밍이 아닌가 고민했다. 그러나 함부로 ‘사자’ 버튼을 누르지 못한 건 홍콩거래소의 최소 거래단위 탓이다. 중국은 모든 주식의 최소 거래단위가 100주다. 종목에 따라 100주일 때도, 500주, 1000주일 때도 있다. 그만큼 투자자금이 늘어난단 의미다. ‘주린이’이자 ‘쫄보’인 기자가 투자하기란 쉽지 않았다.
더 신중하게 종목을 분석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다행히 정보는 많았다. 평소 각종 신문 매체를 늘 접하는 기자에게는 정보 수집이 유리한 편이기도 했다.
일단 미국증시와 홍콩증시에 모두 상장된 기업을 추렸다. 개인적으로 이 기업들이 비교적 탄탄한 성장세를 자랑한다고 판단했다. 또 최근 미국증시에서 중국 상장사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홍콩증시는 안정적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대표적인 기업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다. 알리바바는 지난 2019년 홍콩증시에 입성했다. 나스닥 상장에 이은 2차 상장이었다. 알리바바를 시작으로 징둥닷컴, 바이두 등 대형 기술기업들이 줄줄이 홍콩행을 택했을 만큼 영향력이 컸다. 그러나 최근 알리바바는 중국 당국의 규제 ‘표적’이 다. 올해 주가가 크게 하락해 매력도는 늘었지만, 변수가 두려웠다. 일단 패스하는 게 맞다고 봤다.
이외 바이두, 징둥, 넷이즈, 비리비리, 트립닷컴(구 씨트립), 중신궈지(SMIC) 등 다수 기업이 기자의 매수 종목 후보 물망에 올랐지만 모두 기자의 마음을 사로잡진 못했다.
그렇다면 전기차는 어떨까. 중국 대표 전기차 기업인 리오토(리샹)와 샤오펑은 얼마 전 홍콩증시에 상장한 따끈따끈한 종목이다. 리오토는 지난 12일 주당 118홍콩달러로 상장했고, 샤오펑은 지난달 7일 165홍콩달러로 데뷔했다. 특히 기자는 샤오펑에 대한 좋은 추억이 있다. 미국증시에서 약 10주를 매수해 15만원가량 이득을 보고 매도했었다. 그래서인지 샤오펑과 리오토가 끌렸다. 때마침 스위스 최대 투자은행 UBS가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중국 전기차 보유 지분을 대폭 늘렸다는 기사도 봤다.
아무래도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겠다고 결심했다. 마침 리오토의 18일 오전 기준 주가가 110홍콩달러(1만6500원)였다. 100주 기준으로도 기자의 시드 머니(170만원 이하)에 부합했다. 고민 끝에 리오토 ‘사자’를 누르는 순간, 웬걸, 장 운영 시간이 아니란다. 홍콩거래소는 오전장과 오후장 사이 점심시간 휴장제도가 있다. 우리 시간으로 오후 1시부터 2시까지인데, 이때는 매매 주문을 접수하지 않는다. 하는 수 없이 오후장이 열리기를 기다렸다. 그런데 오후장 들어서 리오토 주가가 급등했다. 110홍콩달러를 본 터라 쉽게 ‘사자’에 손이 안 갔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