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x 마진 계산기
- 인터뱅크들간에 이뤄지는 국제외환시장(Foreign exchange market = Forex 라고도 부름) 에서 개인도 외환 거래가능한 것.
- 거대 은행만큼 어마무시한 자금을 가진 자 뿐만 아니라 국제외환시장에 내가가진돈 달랑 50만원이 전부라하더래도 그 시장에서 진입할 기회를 박탈당하지 않고, 참여할 수 있는 공정한 "기회" 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개인의 자유의 가치를 느끼게 해준다. .
물론 이 시장에서 개인들이 획득하는 결과 수익은 사람마다 다르며 그게 당연한거다. 참여자들은 본인의 투자원금은 모두 잃을 수 있는 위험은 감수하는 대신 나의 최대 수익 가능성을 제한받지 않는 다는 점이 최대의 매력이다. 참여자들은 모두 이런 리스크를 감수하겠다는 것에 동의 한다는 것. 이런 리스크 견디기 힘든 사람은 안하면 됨. 아무도 강요하지 않음.
거래가능종목
8개국 통화 2개의 교환비율(즉 환율).
8개국 통화 : 미국달러, 유로, 영국파운드, 일본엔, 스위스프랑, 캐나다 달러, 뉴질랜드 달러, 호주달러.
종목명 표기 규칙 : 기준통화(가치)/상대통화(가치).
- 앞에 표기된 통화 1을 상대통화로 교환시 얼마에 해당하는지를 의미함.
- 심볼 / 는 산수 에서의 나누기 연산을 의미한다.
1 유로를 달러로 교환시 1.16달러를 받을 수 있다면 종목 EUR/USD 의 값은 1.FX마진 거래 16 이며 "유로가치/달러가치" 가 1.16 이라는 의미.
시장통 자료방
레버리지는 무엇인가?
레버리지(leverage)의 레버(lever)는 지렛대라는 말이므로, 레버리지는 지렛대효과 또는 지레효과 정도로 번역하면 될 듯하다.
무거운 물체를 움직일 때 지레를 사용하면 적은 힘으로 움직일 수 있고, 같은 힘이라면 보다 무거운 물체를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을 금융에서는 '빚을 지레로 이용하는 자산 증식'을 일컫는 말로 쓴다.
예컨데, 자기자본 100만원으로 투자하여 50% 수익을 낸 경우와, 10만원을 빚내어 보태 총 110만원을 만들어 투자 하여 50% 수익이 난 경우를 생각해 보자.
자기자본 100만원으로 투자해서 50% 수익이 났다면 수익 금액은 50만원이 되고, 빚낸 돈을 합쳐 110만원을 투자해서 50%의 수익이 났다면 수익 금액은 55만원이 된다. 곧, 빚을 내어 보탠 돈으로 인하여 5만원의 수익이 더 생긴 것이다. 이와 같이 빚으로 수익을 늘리는 것을 '레버리지를 이용한다'고 하고, 그러한 수익증가 효과를 레버리지 효과라 한다.
레버리지 비율은 무슨 뜻인가?
레버리지 비율은 빚을 내어 합친 총액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곧, " 레버리지 비율 = (빚을 내어 보탠) 총투자금액 / 자기자본" 으로 계산한다.
위의 예에서는, 빚을 내어 합친 총투자금액이 110만원이고 자기자본이 100만원이므로 레버리지 비율은 110만원 ÷ 100만원 = 1.1 배가 된다.
그러므로 자기자본에 비해 빚 낸 돈이 커질수록 레버리지 비율은 커지게 된다.
레버리지 비율이 높다는 것은 투자가 성공적이라면 그 만큼 투자 수익도 커지게 됨을 뜻하고, 투자가 실패라면 그 만큼 손실도 커짐을 뜻한다.
위의 예에서, 50%의 손실이 났다고 가정을 하면, 자기자본 100만원을 투자했을 때는 50만원 손실이 나지만, 빚을 내어 110만원을 투자했을 때는 55만원의 손실이 나게 된다.
레버리지를 활용하는 것이 유리한가?
한 마디로 말하자면, 투자가 성공할 때는 그 만큼 더 유리한 것이고, 투자가 실패할 때는 그 만큼 더 불리한 것이므로, 유리하다 또는 불리하다라고 단정지어 말할 수 없다.
세상을 온톤 뒤덮다시피 하고 있는 파생상품들 가운데 일반적인 금, 은, 옥수수, 콩 등과 같은 상품선물의 증거금율이, 비록 수시로 바뀌기는 하지만, 대체로 5% 전후이다. 증거금율이 5%라는 말은 총투자금액 가운데 자기자본이 5%라는 말이니까, 레버리지로는 20배가 된다.
예컨데, 증거금율 5% (레버리지 20배)로 금을 매수 하여 금값이 5% 상승하면, 자기자본의 100% 수익을 얻게 되고, 반대로 금값이 5% 떨어지면 자기자본의 100%를 몽땅 잃게 된다.
따라서, 레버리지를 이용할 때는 투자 대상의 가격변동 속성을 감안하여야 하고, 나아가 총위험노출비율에 따른 자금관리를 그 바탕으로 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한 순간에 자기자본을 모두 잃을 수 있다.
파생상품에는 여러가지가 FX마진 거래 있지만, 일반적으로 많이 거래되는 것으로는 포렉스(Forex), CFDs 그리고 거래소 상장 선물 등을 들 수 있을 것 같다.
포렉스와 CFDs는 총투자금액 가운데 증거금을 제외한 금액을 브로커로부터 빚을 내어 레버리지를 형성하고 이자를 내게 된다. 거래소 상장 선물은 총거래금액 가운데 일정한 증거금만으로 거래 하므로 실제적으로 빚을 얻는 것은 아니면서 레버리지 거래를 하게 된다.
레버리지와 복리관계
레버리지를 높여 높은 위험에 노출되는 것 보다는 조금 낮은 레버리지로 복리개념에 기초하여 투자하는 것이 보다 안전할 수 있을 것이다.
현물과는 달리 레버리지를 적용하는 파생상품에서는 증거금의 10%가 오락가락하는 것은 예사라 할 수 있다. 그러한 10%를 복리개념으로 보면 결코 작은 수치가 아니다. 아래의 표에서 FX마진 거래 볼 수 있듯이 10% 수익으로 50회를 돌면 최초 원금의 100배가 넘어 간다.
물론, 실제 투자에서는 승율과 같은 여러가지 요소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아래 표와 같이 되지는 않지만 복리개념에 기초해서 욕심을 줄이고 느긋한 투자를 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은가 싶다.
언젠가 금융투자로 큰 돈을 번 사람의 회고록을 읽은 적이 있다.
그 사람은 주식에만 투자를 했고, "10%의 수익이 나면 이유를 가리지 않고 청산"하는 원칙을 세우고 철저히 실천했다고 한다. 그 책에 복리개념이라는 말은 나오지 않았지만, 아마도 그러한 개념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아래는 각 %별로 회전 수에 따른 수익 증가를 보여주는 표이다.
예컨데, 10% 수익으로 50 회전을 하면 최초 원금의 100배가 넘어 가고, 20%의 수익으로 27회를 회전하면 최초 원금의 100배를 넘어간다.
Forex 마진 계산기
FX 증거금의 구조 및 3가지 계산법
FX마진거래는 외환을 증거금으로 거래하는 것입니다. 증거금이라는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FX에서 소액으로 큰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증거금은 자금 관리의 첫 번째 단계로서 꼭 알아야 할 몇 가지 사항이 있습니다. 이미 FX를 거래하는 분들에게는 당연하지만, 시작하는 분들에게는 조금 어려울 수 있습니다.
FX 성공을 위한 첫 번째 룰
FX는 계좌를 개설하여 입금하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그리고 계좌에 입금 한 돈을 증거금이라 하며 실거래는 입금한 증거금의 최대 10배 금액까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증거금으로 50만원을 입금했다면 500만원까지의 거래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증거금 이상의 금액을 거래 하는 것을 바로 레버리지(지렛대 효과)라고 합니다.
이 시스템을 통해 FX는 소액으로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말은 반대로 큰 손실을 입게 될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거래에 필요한 증거금의 3가지 용어
FX에서는 자금 관리의 전제가 되는 증거금의 지식이 부족하면 실패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므로 FX의 자금 관리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용어 3가지가 있습니다.
이 3가지를 이해해야 지속적인 거래가 가능합니다. 필요 증거금 및 유효 증거금은 증거금 유지율 계산에 필요한 것입니다. 그리고 증거금 유지율은 마진콜 이나 강제 로스 컷 의 준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세가지를 스스로 FX마진 거래 계산할 필요는 없고 FX거래사의 거래 도구에서 항상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어려운 내용은 아닙니다. 거래도구에서 예탁 증거금, 유효 증거금, 필요 증거금, 주문 증거금액, 평가 손익, 사용 비율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내용은 거래 과정에 따라 자동으로 갱신 됩니다.
FX거래사에 따라 구조는 다를 수 있지만 계산 방법과 의미는 동일합니다. 사용중인 FX 거래도구에서 확인해보세요.
필요 증거금은 포지션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금액입니다.
1달러=105엔 시간에 1,000 달러(1,000통화) 구매 포지션을 가지고 있다고 하면, 이를 위해 필요한 자금은 10.5만엔(105엔 × 1,000통화) 입니다. 레버리지 10배로 거래한다고 하면이 10.5만엔의 포지션을 갖는 데 필요한 증거금은 10.50만원 ÷ 10 = 10,500원이 됩니다.
따라서, 필요 증거금은 말 그대로 가지고있는 포지션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증거금 액수 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필요 증거금 = 환율 × Lot수 ÷ 레버리지 비율 (최대 10배)
환율은 당신이 거래 할 때의 시세입니다. Lot수는 통화 수량입니다. 10,00통화를 투자한다면 1,000을, 10,000통화를 투자한다면 10,000을 곱합니다.
필요 증거금은 환율 변동과 함께 변동됩니다. 예를 들어 이 후, 1달러 = 106 엔으로 상승했다면 필요한 증거금은 다음과 같이 변경합니다.
106엔 × 1,000통화 ÷ 10 = 10,600원
필요 증거금은 도구를 사용하면 자동 계산됩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통화 쌍으로 체험 해 보면, 증거금의 감각을 익힐 수 있을 것입니다.
유효 증거금은 앞으로 얼마나 거래가 가능한지의 여력을 나타내며 다음의 계산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유효 증거금 = 필요 증거금 - 포함 손익
필요 증거금은 앞에서 설명 드린대로이며 포함 손익은 현재 보유한 포지션의 확정되지 않은 손익입니다.
만약 지금 현재 10,000원의 평가 이익이 나온 상태의 경우 사용 증거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증거금 500,000원 + 평가 이익 10,000원 = 510,000원
유효 증거금은 시시각각 변동 합니다.
이 후 가격이 역행하여 1달러 = 1040원이 되었다고 한다면, 10,000원의 평가 손해 상태입니다. 그 때 사용 증거금은 다음과 같이 변경됩니다.
증거금 500,000원 - 평가 손실 10,000원 = 490,000원
증거금 유지율은 간단하게 말하면, 얼마나 위험한 수준의 거래를 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수치가 높을수록 안전합니다. 아래 계산식 입니다.
증거금 유지율 = 유효 증거금 ÷ 필요 증거금 × 100
증거금 50만원, 1달러 105엔 때 레버리지 10배에서 000 통화의 구매 포지션을 가졌을 때 필요한 증거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달러 엔 105 엔 × Lot 수 1,000 통화 ÷ 레버리지 FX마진 거래 비율 10배 = 필요 증거금 10,500원
유효 증거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증거금 500,000원 + 포함 손익 0원 = 유효 증거금 500,000원
앞서 계산한 두가지로 증거금 유지율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유효 증거금 500,000원 ÷ 필요 증거금 10,500원 × 100 % = 4761 %
이 후, 달러/엔이 104엔으로 하락했을 때, 유효 증거금은 490,000원으로 줄어 듭니다. 그리고 필요한 증거금도 104엔 × 1000통화 ÷ 10 = 10,400원이 됩니다. 이때 증거금 유지율은
유효 증거금 490,000 엔 ÷ 필요 증거금 10,400원 × 100 % = 4711 %
이와 같이 모든 숫자는 환율 변동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합니다.
FX 계좌 도구의 '계좌 조회'라는 항목에서 필요한 증거금 및 증거금 유지율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단, 계산법을 알아 두어야 본질을 잡을 수 있습니다.
증거금 유지율이 중요한 것은, 유지율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강제 로스 컷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되면 증거금 전부가 공중분해 되어버리고 맙니다.
강제 로스 컷의 기준은 FX거래사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은 증거금 유지 비율이 100%에서 떨어졌을 때입니다. 이 내용은 포지션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므로, FX의 로스 컷의 구조와 반드시 알아야 산출 방법 을 참고하십시오.
투자의 첫 번째 규칙, 절대 돈을 잃지 말 것
FX거래로 도박처럼 일확천금을 노리는 초보자가 많습니다. 하지만 FX는 도박이 아닙니다. 꾸준히 이익을 쌓아 30~100만, 100~300만, 300~ 1,000만, 1,000~3,000만으로 꾸준히 자산을 늘려 나가기 위한 투자입니다. 그래서 오랫동안 거래를 지속하면 성공 가능성이 커집니다. 거래 규칙에 따라 올바른 투자를 해야 합니다.
다음은 세계 최고의 투자자로 알려져있는 워런 버핏의 말입니다.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룰을 지켜라.
[조건 1] 절대로 돈을 잃지 말 것
[조건 2] 절대 첫 번째 조건을 잊지 말 것
당신을 큰 성공으로 이끌기 위한 첫 번째 조건은 자신의 자금을 지키는 것 입니다. 따라서 증거금에 대한 이해는 필수입니다.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도 중요합니다.또한 증거금 관리 요령은 모의 거래로 익히는 것이 좋습니다. FX 계좌 개설 방법 | 모의 거래 사이트에서 FX 성공을 위한 팁을 참고하세요.
FX 증거금의 구조 및 3가지 계산법
FX 증거금의 구조 및 3가지 계산법 FX마진거래는 외환을 증거금으로 거래하는 것입니다. 증거금이라는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FX에서 소액으로 큰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증거금은
현 주부,직장인,대학생,재택근무 금융인도 아닌 일반인도 재태크가능한 요즘 핫한 아이템
기존 FX거래는 높은증거금과 보증금등 여러장벽들때문에 진입하기쉽지않았습니다.
저희 FXMOA는 이러한 증거금 없이 환율상승 하락에 따라 예측을 통해 발생된 수익을 나누는 손익분배형구조로
특히 소액,FX마진 거래 개인투자자들에게 부담이 된 FX거래 증거금과 보증금을없애 부담을없앴고 최저가인 5천원 부터 거래가가능합니다.
FX마진거래 방법 등 정말 자세하게 알아보자!
요즘 주식상황을 보면 그야말로 오르락내리락 알수가 없습니다 . 원유값도 계속 하락하고 세계경제도 침체일로를 겪고있습니다 . 이럴때가 오히려 투자에는 기회가 될수도 있습니다 . 하지만 기회는 누구에게나 찾아오지 않고 찾아오더라도 이용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오늘은 주식거래중에 FX 마진거래에 대하여 소개를 해드리려고 합니다 . 요즘 꽤나 이슈이더라고요 . 키움증권 정보위주로 소개를 하였습니다 .
▶FX마진거래?
FX 마진거래란 외국통화의 매수 혹은 매도를 통해 차익을 실현하는 거래 형태를 말합니다 . 전세계 통화의 환율은 시시각각 변하고 있는데 , 이러한 변화를 이용하여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 FX 마진거래의 핵심입니다 . FX 마진거래의 기본 성격은 이종 통화 간 현물환 거래이지만 , 현물환보다는 계약 단위가 작고 증거금율도 낮으며 , 현물이 오고 가지 않는 차액결제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
FX 마진거래의 최대 장점은 양방향 수익구조를 가지고 있어 매수 또는 매도 포지션 진입이 모두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 환율 변동에 따른 차익 외에도 , 통화 간 금리차로 인해 발생하는 “Swap Point” 에 따른 차익 , 적은 자금으로도 큰 규모의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 등이 FX 마진거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달러 / 엔 (USD/JPY) 을 예로 들자면 , 달러 당 환율이 100 엔일 경우 1 달러를 100 엔과 교환할 수 있습니다 . 환율이 달러 당 120 엔으로 상승하면 ( 엔화 약세 ), 보유하고 있는 1 달러를 120 엔과 교환함으로써 20 엔의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이를 환차익이라고 부릅니다 .
환율시장의 변동은 달러를 엔으로 교환하고자 하는 사람과 , 엔을 달러로 교환하고자 하는 사람 간의 균형 ( 수요와 공급 ) 에 의해 결정되므로 , 인기가 높은 통화의 환율은 오르고 , 반대로 인기가 낮은 통화의 환율은 내려갑니다 .
2. 시장 현황 및 규모
외환시장은 본래 국제적으로 은행 간 거래가 주를 이루는 제한된 시장이었으나 , 지금은 각국의 중앙은행 , 상업 및 투자은행 , 헤지펀드 , 일반기업 , 개인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가하고 있습니다 .
국내에서는 2005 년 선물거래법 시행령 개정을 기하여 개인투자자들에게도 FX 시장 참여를 허용하였으며 , 통신사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온라인 거래가 가능해지면서 개인투자자들은 HTS (Home Trading System) 을 통해 24 시간 동안 거래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외환시장은 전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큰 금융시장입니다 . 하루 평균거래량은 무려 3.2 조 달러에 육박하며 , 이는 전세계 증권시장의 일일 평균거래량의 10 배 이상 , NYSE ( 뉴욕증권거래소 ) 의 일일 평균거래량의 35 배 이상 , 남녀노소 막론 전세계 인구가 하루 평균 $500 가까이 거래하는 규모입니다 . 동 규모 중 현물환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1/3 수준입니다 .
FX 시장에서의 주요 시장으로는 런던 , 미국 , 도쿄가 있으며 , 이 중 미국과 영국이 전체 거래량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 미국과 영국 시장이 겹치는 오후 10 시부터 익일 오전 2 시 ( 한국시간 기준 ) 까지 거래가 가장 활발합니다 . 특히 , 미국 달러의 경우 전체 외환거래의 80% 이상에 관여하고 있으며 , 이는 일 2.7 조 달러에 상당하는 규모입니다 .
FX 마진거래에서 개인 투자자가 국내 증권사 또는 선물사 (Introducing Broker) 를 통해 주문을 넣으면 , 해당 주문은 해외파생상품시장회원 (FDM: Forex Dealer Member) 을 통해 은행으로 넘어가게 되고 , 은행은 국제은행 간 시장 (Interbank Market) 에서 타 은행과 주문을 거래합니다 . 즉 , FX 마진거래의 거래 참여자는 개인 투자자 , IB (Introducing Broker), FDM (Forex Dealer Member), 은행 (Interbank) 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
키움증권에서는 아래와 같이 거래 가능한 상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 추후 거래대상 종목은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습니다 .
FX 마진거래와 , 통화선물 , 선도환의 주요 상품을 비교한 내용입니다 .
▶FX마진거래 특징과 장점
FX 마진거래의 거래시간은 한국시간 기준으로 월요일 오전 7 시 (Summer Time 적용 시 오전 6 시 ) 부터 시작하여 24 시간 동안 열립니다 . 뉴질랜드와 호주 , 일본 등 아시아 시장에서 시작하여 중동 , 유럽을 경유 , 마지막으로 미국에서 거래됩니다 .
2. 실시간 환율 거래
24 시간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환율을 보면서 본인이 원하는 타이밍에 주문을 낼 수가 있으며 , 표시되는 실시간 호가를 클릭만 함으로써 발주할 수 있는 신속한 거래가 가능합니다 .
주식이나 부동산의 경우 가격 상승 시에만 투자수익을 얻을 수 있는 데 반해 , FX 마진거래는 가격 하락 시에도 수익 실현이 가능한 양방향 수익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4. 저렴한 거래비용, 높은 레버리지
FX 마진거래의 “Margin” 은 증거금을 , “FX” 는 Foreign Exchange ( 외환 ) 를 뜻하며 , 결국 FX 마진거래란 증거금을 담보로 통화를 거래하는 “ 외화증거금거래 ” 를 말합니다 . 제한된 자금 ( 개시증거금 ) 만으로 거래가 가능하므로 , 기존의 주식 , 채권 , 파생상품에 비해 레버리지가 매우 높습니다 .
주의레버리지의 배수가 크면 클수록 담보로 잡히는 증거금의 금액은 작아지므로 거래할 수 있는 계약 금액은 커집니다 . 높은 레버리지를 사용함으로써 큰 금액을 거래할 수 있으며 , 이에 따라 수익의 규모도 레버리지의 배수에 비례하여 커집니다 . 반면 , 그만큼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도 FX마진 거래 커지기 때문에 레버리지를 설정함에 있어서는 많은 주의가 요구됩니다 .
FX 마진거래의 일 거래규모는 약 3,000 조원 수준으로 풍부한 유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 국제은행과 기업 , 개인이 함께 참여하는 거대한 시장입니다 .
▶FX마진거래 거래방법
키움증권의 일일 FX 마진거래 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
- 외환시장이 열리지 않는 주말 ( 土 06:30 ~ 月 07: 25) 에는 FX 마진거래를 하실 수 없습니다 .( 섬머타임 적용 시에는 土 05:30 ~ 月 06:25)
- 시스템 점검시간인 오전 07:00~07:25( 섬머타임 적용시에는 오전 06:00~06:25 분 ) 동안에는 FX 마진거래가 불가하며 , 반대매매주문도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 또한 동 시간 동안에는 은행연계이체 , 계좌대체 , 환전이 불가합니다 .
- 주문 유효기간이 " 당일 " 인 경우 , 주문이 당일에만 유효합니다 . 즉 , 당일 장마감시까지 체결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됩니다 .
GTC(Good Till Canceled)
- 주문 유효기간이 "GTC" 인 경우 , 주문이 체결될 때까지 계속 유효합니다 . 즉 , 당일 장마감시까지 체결되지 않은 주문은 , 다음 장 시작 시 자동 재주문 됩니다 . ( 지정가 또는 역지정가 주문인 경우에만 GTC 주문이 가능합니다 . 시장가와 지정시장가는 당일 주문입니다 .)
주문 후에는 유효기간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 변경을 원할 시에는 취소 후 재주문하셔야 합니다 .
스프레드 (Spread)
FX 마진거래에서는 매수 및 매도 호가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데 이를 스프레드 (Spread) 라고 합니다 . 투자자는 Ask 가격에 매수하고 Bid 가격에 매도하게 됩니다 . 유로 , 달러 , 엔과 같은 주요 통화의 스프레드는 2~5 pips 수준이며 , 거래 빈도가 낮은 통화의 스프레드는 10 pips 가 넘는 경우도 있습니다 .
Rollover 이자 (Swap Point)
FX 마진거래에서는 투자자가 보유 포지션을 당일 내에 청산하지 않고 익일로 Rollover 시키는 방식으로 거래 포지션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이 때 , 통화 간 이자율 차이에 따른 Rollover 비용이 발생하는데 이를 “Swap Point” 라고 합니다 .( ※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Rollover 이자 ” 참조 ) 만약 보유 포지션에 대한 이자 지급 또는 수취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유 포지션을 장 마감 이전에 청산해야 합니다 . 외환시장의 결제는 T+2 일 기준이므로 , 월 / 화 / 목 / 금요일 Rollover 에 대해서는 1 일분의 이자가 , 수요일에 대해서는 3 일분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 참고로 , 각국 휴일로 인해 4 일 이상의 이자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거래 수수료 (Brokerage Fee)
FX 마진거래 중개회사에서 부과하는 수수료를 말합니다 .
FX 마진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거래단위당 계약금액의 10% 수준에 해당하는 위탁증거금 (USD 10,000) 을 예치하여야 하며 , 보유 포지션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예탁자산평가금액이 최소한 위탁증거금의 50% 수준인 유지증거금 (USD 5,000) 이상 되어야 합니다 .
7. 마진콜 및 강제청산
FX 마진거래 시장은 시시각각 변하며 24 시간 운영되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하지만 투자자가 직접 24 시간동안 시장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대응을 할 수는 없으므로 , 키움증권에서는 이러한 시장 리스크에 대비하여 일정범위 이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 마진콜 (Margin Call) 통보 ” 와 “ 강제청산 (Loss Cut)”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
마진콜이란 불리해진 포지션을 유지하기 위하여 추가 증거금 납부를 요구하는 것으로 , 예탁자산평가금액이 특정 수준을 하회할 경우 ( 포지션증거금의 70%) HTS 의 popup 또는 SMS( 신청자에 한함 ) 를 통해 고객님께 즉시 통보해 드립니다 . 마진콜이 통보되면 해당 포지션에 대해 강제청산이 임박하였음을 의미하므로 , 통보를 받은 후 가급적 빠른 시간내에 증거금을 추가로 입금하거나 해당 포지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청산할 것을 권장합니다 .
또한 마진콜 통보 이후 가격변동 등으로 인하여 예탁자산평가금액이 위탁증거금의 50%( 즉 , 유지증거금 ) 에 미달될 경우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모든 포지션을 강제청산하여 손실의 범위를 한정짓게 됩니다 .
국내주식거래와 달리 가격제한폭의 개념이 없는 FX 마진거래 시장이 급변할 경우 위와 같은 마진콜 및 강제청산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면 위탁증거금 뿐만 아니라 예탁자산 전체가 손실로 이어질 수 있으며 , 심지어는 원금 초과 손실분에 대한 추가 지급을 요구당할 수도 있으므로 많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
8. Rollover 이자 (Swap Point)
“Swap Point” 란 , 금리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통화를 매매함으로써 발생하는 “ 금리차 조정분 ” 을 말합니다 . 예를 들어 금리가 낮은 통화를 매도하고 이보다 금리가 높은 통화를 매수했을 경우 , 금리의 차액분을 수취하게 됩니다 .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통화를 보유하고 있는 동안에는 상대 통화와의 금리차만큼의 금액을 매일 수취하게 되는 것입니다 .
이와는 반대로 , 금리가 높은 통화를 매도하고 이보다 금리가 낮은 통화를 매수했을 경우에는 금리차를 지급하게 되어 손실이 발생합니다 .
FX 마진거래의 손익계산은 선물거래와 동일하지만 산출되는 손익은 통화쌍의 오른쪽 통화인 표시통화 ( 상대통화 ) 가 기준이 됩니다 . 따라서 미국식 호가방식이 아닌 거래통화의 경우에는 손익을 미국 달러로 환산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
미국식 호가방식 (EUR/USD, GBP/USD, AUD/USD, NZD/USD 등 )
- 미국 달러로 표시한 외국 통화 한 단위의 가격을 나타내는 방식으로서 매도가격에서 매수가격을 뺀 가격에 거래단위 ($100,000) 를 곱하여 산출합니다 .
- 손익 = ( 매도가격 - 매수가격 ) x $100,000
- 예를 들어 , 고객 A 가 EUR/USD 를 1.2872/1.2875 에 매수하고 1.2911/1.2914 에 매도하였을 경우 , 고객 A 는 1.2875 에 매수하여 1.2911 에 매도한 것으로서 , 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
- 고객 A 의 손익 = (1.2911 - 1.2875) x $100,000 = $360
유럽식 호가방식 (USD/JPY, USD/CHF, USD/CAD 등 )
- 외국 통화로 표시한 미국 달러 한 단위의 가격을 나타내는 방식으로서 매도가격에서 매수가격을 뺀 가격에 $100,000 을 곱하고 청산할 당시의 매도가격과 매수가격의 중간값으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
- 손익 = [( 매도가격 - 매수가격 ) x $100,000] / (Closing Mid Rate)
- 예를 들어 , 고객 A 가 USD/JPY 를 99.00/99.03 에 매수하고 , 99.41/99.44 에 매도하였을 경우 , 고객 A 는 99.03 에 매수하여 99.41 에 매도한 것으로서 , 손익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 고객 A 의 손익 = (99.41 - 99.03) x $100,000 / 99.42 = $382.22
교차통화의 양쪽 통화가 미국식인 경우 (AUD/NZD, EUR/AUD, EUR/GBP, GBP/AUD, EUR/NZD 등 )
- 교차통화의 양쪽 통화가 미국식인 경우 청산할 당시의 우측통화 환율을 곱하여 산출합니다 .
- 손익 = ( 매도가격 - 매수가격 ) x $100,000 x ( 교차통화의 우측통화 Closing Mid Rate)
- 예를 들어 , 고객 A 가 EUR/GBP 을 0.8124/29 에 매수하고 , 0.8170/75 에 매도하였고 , 청산할 당시 우측통화 GBP/USD 의 환율이 1.5850/60 이었을 경우 고객 A 의 손익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 고객 A 의 손익 = (0.8170 - 0.8129) x $100,000 x 1.5855 ( 우측 통화 중간환율 ) = $650.06
교차통화의 한쪽 또는 양쪽 통화가 유럽식인 경우 (EUR/JPY, GBP/JPY, CAD/JPY, CHF/JPY, EUR/CHF, GBP/CHF 등 )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