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로 하는 법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6월 19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레이달리오처럼 투자하기, ETF로 하는 법

ETF로 똑똑하게 돈버는 법을 알아보는 2화는 투자 대가들이 사랑한 전략, 자산배분에 대해 알아봅니다. 안정성을 한층 더해주는 자산배분 전략을 ETF를 활용해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해요. 올웨더 전략부터 60:40 전략까지, 벌써 궁금해지지 않나요?

흔들릴 때 주목받는 자산배분의 힘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많은 투자의 대가가 강조한 격언입니다. 자산을 여러 곳에 분산해 위험을 줄이는, 자산 배분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죠. 자산배분은 주식, 채권, 현금,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꾸려 적절하게 나눠 투자하는 전략 을 말해요.

연초부터 많은 악재가 시장을 덮치면서 투자자들은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뚝뚝 떨어지는 주가를 바라보며 냉가슴을 앓은 투자자들은 자산배분 전략으로 눈을 돌리고 있어요. 자산배분은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어려워 보이는 자산배분을 도와주는 ETF 활용법도 함께 알아볼게요.

자산별 수익률 추이

자산배분이 중요한 건 아주 매력적인 자산도 언제까지나 수익률이 높긴 어렵기 때문 이에요. 주요 자산군별 수익률 추이를 담은 위의 그림을 볼까요? 만약 5년동안 미국 채권에 모든 자산을 투자 했다면 2018년에는 우수한 수익률을 기록 했겠지만, 다른 해에는 상대적으로 성과가 나빴을거에요.

자산배분의 또 다른 장점은 더 안정적인 투자예요. 자산배분의 마법은 바로 상관계수에 숨어 있습니다. 상관계수란 두 변수간의 관계를 의미 하는데요, 자산 A와 B의 상관계수가 1이면, A의 가격이 10만큼 오를 때 B의 가격도 똑같이 10만큼 증가해요. 상관계수가 -1이면 어떨까요? A의 가격이 10만큼 증가하면 B의 가격은 정반대로 -10만큼 움직일거예요.

이렇게 상관계수가 다른 자산에 나눠 투자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만약 상관계수가 -1인 자산에 각각 나눠 투자하면, 한 가지 자산의 가격이 하락할 때, 다른 자산은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높아요. 아이스크림 회사의 주식난로 회사의 주식에 나눠 투자한다고 생각해볼까요.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 난로 회사의 판매량은 줄겠지만, 아이스크림 회사는 매출이 오르겠죠. 반대로 매서운 추위가 몰아치면 난로 회사가 성업하면서 아이스크림 회사의 부진을 보완할 거에요.

ETF-2-graph-9

이런 자산배분 전략으로 큰 성과를 거둔 투자의 대가도 많아요. 지난 35년 동안 약 13%의 연평균 수익률을 기록하며 예일대 기금을 30배 성장시킨 자산 배분의 대가 데이비드 스웬슨은 “자산 배분이 투자 수익의 100%, 혹은 그 이상을 결정한다” 고 말했어요.

자산배분의 중요성은 연구 (주1) 로도 확인됐어요. 미국의 82개 대형 연기금의 10년간(1974~1983년) 운용 성과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자산 배분은 전체 투자 성과의 91.5%를 결정했어요. 투자 종목 선택(4.6%)이나 투자 타이밍(1.8%)은 장기적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었습니다.

(주1) Brinson, Hood&Beebower, “Determinants of Portfolio Performance”. Financial Analysts Journal May/June, 1991

잃지 않는 투자, 레이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

그렇다면 실제로 자산배분 전략을 쓰는 방법은 어떤 게 있을까요? 헤지펀드 업계의 대가, 레이 달리오가 제안한 올웨더(All weather·사계절) 포트폴리오가 널리 쓰이고 있어요. 올웨더 전략은 경기가 좋거나 나쁜지, 물가 상승과 하락에 관계없이 꾸준하게 수익을 낼 수 있는 전략을 말합니다.

이 전략은 세계적인 헤지펀드 매니저 레이달리오가 활용하는 게 알려지면서 유명해졌어요. 투자 대가의 조언을 담은 책 「머니」(Money)에서 작가 토니 로빈스와 인터뷰한 레이달리오는 어떤 경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수익률을 내는 이 전략을 소개했어요.

올웨더 포트폴리오의 핵심은 경제 상황에 따라 등락이 큰 여러 자산에 나눠 투자하는 겁니다. 이를 위해선 자산군마다 갖고 있는 특징을 파악해야해요. 자산시장의 여름(호황), 겨울(불황) 등 각 국면에 따라 수익을 낼 수 있는 자산이 달라요.

국면별 자산 배분

계절(경제 상황)별로 어떤 자산이 수익률이 높은지 볼까요. 경제가 성장하고, 물가도 함께 오르는 시기에는 주식이나 회사채, 원자재 같은 자산이 수익률이 높아요. 경기가 호황이기 때문에 기업 실적도 좋고, 따라서 주식과 회사채도 유망한거죠. 경제 성장에 필요한 원자재도 인기고요.

반면 경기는 침체를 맞은 상황에서 물가가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는 주식과 회사채가 힘을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이럴 때는 물가 상승의 수혜를 보는 원자재와 이를 생산하는 신흥국 채권의 수익률이 높습니다. 물가와 연동돼 움직이는 물가연동채도 상대적으로 수익이 많이 나고요.

📌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에디터 주)

‘Stagnation'(경기 침체)‘Inflation'(물가 상승)의 합성어. 경기 침체와 함께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해요. 일반적으로 경기가 침체에 빠지면 물가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하락하는 경향이 있어요. 하지만 스태그플레이션은 두 현상이 모두 발생하기 때문에 체감 경기는 더 악화합니다. 석유 가격이 급등하는 ‘오일 쇼크’가 발생한 1970년대에 전 세계적으로 발생했어요.

올웨더 포트폴리오는 이렇게 다른 성과를 보이는 자산의 위험 비중*이 비슷하게 나눠 투자해요. 포트폴리오에 담은 자산 중 무언가는 좋은 성과를 낼테니까요. 이름처럼 사계절 내내 따뜻한 전략인 셈이죠. ‘꾸준한 수익’이라는 점에서 인기를 끈 만큼 미국에는 레이달리오 올웨더 포트폴리오 전략을 구사하는 ETF가 상장되어 많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기도 했습니다.

📌 위험 비중에 따른 투자 전략, ‘리스크 패리티’란?

단순히 주식과 채권 등 특정 자산의 금액 비중이 아니라 각 자산의 리스크(Risk, 변동성 등을 포함한 위험)를 계산해서 리스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투자 전략입니다. 개별자산의 리스크와 해당 자산 간의 상관관계를 모두 고려해 각 자산이 포트폴리오에 기여하는 리스크가 비슷하게 운용합니다.

나에게 딱 맞는 자산배분 전략을 찾아서

국내 투자자들에게 레이달리오의 올웨더 전략이 널리 알려지면서 ‘자산배분 = 레이달리오 올웨더 포트폴리오’라고 생각하는 분도 많습니다. 하지만 자산배분 전략은 올웨더 포트폴리오 외에도 다양해요. 대표적으로 투자자 여러분이 활용할 수 있는 자산배분 전략 3가지를 소개합니다.

① 핵심-위성 전략

핵심-위성(Core-Satellite)전략은 지구와 달을 떠올리면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나의 자산에서 지구(핵심)이 될 주요 자산이 무엇이고, 달(위성) 역할을 할 자산이 무엇인지 정하는거죠. 핵심-위성 전략은 시장대비 초과 수익을 내는 게 목표에요. 이를 위해 자산 배분의 ‘핵심’은 시장지수형 ETF로 투자하지만, ‘위성’은 초과 수익이 기대할만한 여러 자산을 담습니다.

핵심 위성 전략 자산배분

예를 들어 핵심 자산에는 미국 대표 주가지수 S&P500을 추종하는 ETF에 투자하고, 위성 자산은 반도체, 사이버보안, 중국 기술주 등 테마 ETF에 투자하는 식이죠. 이렇게 투자하면 시장 평균수익률은 따라가면서도 내가 고른 위성 자산에서 높은 수익률이 발생할 때 초과 수익까지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핵심 자산과 위성자산의 비중을 어떻게 나눌지는 개인의 투자 성향에 따라 정하면 됩니다. 꼭 핵심 자산을 주식형 자산으로만 구성할 필요는 없습니다. 유망하게 보는 여러 자산을 핵심 자산으로 설정해도 됩니다. 자산배분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이 높아진 만큼, 몇몇 증권사에선 추천하는 핵심-위성 포트폴리오를 아래와 같이 제공하기도 해요.

추천 포트폴리오 예시

(에디터 주) 위 포트폴리오는 자산배분 전략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입니다.

② 안전자산-위험자산 배분 전략

자산배분하면 올웨더 포트폴리오 만큼이나 유명한 게 60:40 전략이에요. 주식에 60%, 채권에 40%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상대적으로 고위험/고수익 자산인 주식에 60%를 투자하고, 일반적으로 변동성이 적고 안정적인 채권에 40% 투자해 자산을 배분하는 방식입니다. 주가가 하락(상승)할 때는 채권 가격이 오르는(내리는) 경우가 많아 서로 보완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앞에서 잠깐 언급한 것처럼 상관계수가 적을수록 자산배분에 따른 분산효과가 큰데요, 실제 1994년부터 2021년까지 전세계 주가지수와 주요 투자자산별 상관계수를 보면은 채권은 주식과의 상관계수가 다른 자산보다 낮았어요. 큰 분산투자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는거죠.

이 비중은 위험추구형 혹은 위험회피형 투자자인지에 따라 70:30, 60:40, 50:50 비율을 자유롭게 정하면 됩니다. 최근에는 은퇴 시점을 고려해 생애주기에 맞게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의 배분 비중을 조절하는 TDF 전략*도 주목 ETF로 하는 법 받고 있습니다. 적극적인 자산 증식이 필요한 청년기에는 주식 비중을 높이고, 안정적인 수입을 확보해야 하는 장년기엔 채권을 늘리는 방식이에요.

TDF는 Target Date Fund로 투자자의 은퇴 시점(Target Date)에 맞추어 위험자산과 안전자산 비중을 자산배분곡선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자산배분 펀드입니다. 예를 들어 은퇴가 많이 남은 사회초년생은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성이 기대할 수 있도록 주식 80%, 채권 20%로 자산배분을 하고, 은퇴를 앞둔 중장년층은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주식 30%, 채권 70%로 연령대에 맞추어 자산을 배분합니다.

TDF 예시

자산배분 시 활용 가능한 ETF

여기까지 읽어보신 투자자라면 “그래! 내 자산도 나누어서 전략적으로 분산 투자를 해야지!” 생각이 들텐데요, 자산배분 전략을 세워도 현실적으로 실천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요. 채권만 해도 최소 가입 금액이 1억이 넘는 경우도 많고, 금이나 구리 같은 원자재에 투자하는 ETF로 하는 법 건 주식보다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 활용할 수 있는 게 바로 ETF예요. 1화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ETF 상품의 종류가 다양해져 이제 거의 모든 자산을 ETF로 투자하는 것이 가능해졌어요. ETF만 ETF로 하는 법 잘 활용하면 거의 모든 자산군에 편하게 투자할 수 있게 된거죠. 그렇다면 자산배분 시 활용할 수 있는 ETF에는 어떤 게 있을까요?

시장지수형 ETF

핵심/위성전략에서 대표적인 핵심 자산으로 설명했던 ETF로는 시장지수형 ETF가 있는데요, 미국S&P500, 나스닥100, KOSPI200 등을 추종하는 ETF 등이 해당되요.

혁신 테마형 ETF

때로는 위성자산으로 초과수익을 기대할 수 있게 하는 ETF이자 대표적인 주식형 ETF는 어떤 게 있을까요? 2021년 이후 ETF로 하는 법 개인투자자 순매수 현황을 보면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지난해 개인투자자들은 전기차, 빅테크, 반도체, 리튬 등 성장성이 높은 테마 ETF에 집중적으로 투자 했습니다.

이런 테마형 ETF는 단기간에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그만큼 변동성도 커요. 급등한 만큼 하락할 위험도 있는거죠. 이렇게 변동성이 큰 자산을 위성 자산으로 담으면,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핵심자산과 시너지를 낼 수 있어요. 핵심 자산은 꾸준한 수익률을 내고, 위성 자산에서는 높은 초과 수익을 낼 수 있는거죠.

개인투자자 ETF 매수 순위

개인투자자 ETF 매수 해외 순위

인컴형 ETF (채권, 리츠 )

인컴형* ETF는 자산배분을 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상품입니다. 증시 변동성이 커질 때, 대표적인 인컴형 자산인 채권과 리츠는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적고, 임대료나 이자 등 현금 흐름이 발생하기 때문에 시장 하락 시 어느정도 안전판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인컴형 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리츠부동산인프라 ETF와 채권 ETF도 많이 상장돼 있어요.

📌 인컴(Income)형 자산이란?

인컴은 자산을 보유하는 것만으로도 보유기간동안 발생하는 권리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금전적인 이익을 의미합니다. 이를테면 채권은 이자 수익, 주식은 배당수익, 리츠/부동산은 임대료 수익이 되겠죠.

인컴형 자산 예시

원자재 ETF

원자재는 전통적인 자산인 주식과 채권과 낮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요. 인플레이션 헤지* 효과까지 있어서 자산을 배분할 때 놓칠 수 없는 자산입니다. 원유, 구리 같은 원자재는 물론 안전자산의 대표주자인 금까지 모두 ETF를 활용한다면, 보다 정교한 자산 배분이 가능해집니다.

📌 헤지(Hedge)란? (에디터 주)

헤지는 투자자가 자산의 가격 ETF로 하는 법 변동 위험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말해요. 물가가 오르는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 자산의 실질 가치는 하락할 위험이 커집니다. 이럴 때 원자재는 물가 상승의 여파로 가격이 덩달아 뛰는 경향이 커요. 이런 특성 덕분에 원자재는 대표적인 인플레이션 헤지 자산으로 꼽힙니다.

오늘은 시장이 흔들릴 때 나의 자산을 더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방법, ETF를 활용한 자산배분 전략을 알아봤어요. 전략을 실천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주요 ETF도 찾아봤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ETF에 본격적으로 투자할 때, 특히 해외 주식형 ETF에 투자할 때 놓치지 말아야할 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Edit 남궁민 Graphic 이은호, 엄선희

토스피드 외부 기고는 외부 전문가 및 필진이 작성한 글로 토스피드 독자분들께 유용한 금융 팁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명한 금융생활을 돕는 것을 주목적으로 합니다. 토스피드 외부 기고는 토스팀의 블로그 운영 가이드라인에 따라 작성되며 토스피드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상기 정보는 집합투자기구의 판매나 권유를 위하여 제작된 것이 아닙니다. 본 자료 중 제3자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의 오류 및 생략에 대하여 당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상기 정보는 시장의 환경이나 그 외의 상황에 의해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당사의 사전 서면 동의나 허가 없이는 정보에 대한 수정 또는 변경이 금지되어 있습니다.ETF로 하는 법
집합투자상품은 실적배당상품으로 운용결과에 따른 이익 또는 손실(0~100%)이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집합투자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으며, 원본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기 전에 (투자대상, 환매방법 및 보수 등에 관하여) 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운용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환율변동에 따라 외화자산의 투자가치가 변동되어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투자대상국가의 시장, 정치 및 경제상황 등에 따른 위험으로 자산가치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해당 집합투자증권에 대하여금융상품판매업자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금 기반 ETF

2022년 1분기 미국 금 은 ETF 주식 종목 TOP 3

안녕하세요? 인플루언서 초록괴물 입니다. 다양한 테마 종목이 있지만 금 은 테마주는 처음 살펴봤는데요. 금, 은, 백금과 같은 귀금속은 많은 투자자들이 인플레이션에 대한 경제 혼란 시기에 안전한 피난처로 생각하기도 합니다. 또한 희소성과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가치가 있는 편이죠.


미국 금 은 ETF 귀금속 상장지수펀드는 실물 또는 선물 기반 노출을 통해 이러한 금속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ETF는 귀금속의 탐사 또는 생산과 관련된 상장 기업의 선물 계약, 금괴 구매 또는 주식을 사는 것보다 귀금속에 대한 보다 유동적이고 쉬운 투자 접근 방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주요 내용
(1) 귀금속 시장은 지난 한 해 동안 광범위한 미국 주식 시장을 크게 하회했습니다.
(2) 1년 후 총 수익률이 가장 좋은 귀금속 상장지수펀드(ETF)는 PPLT, SIVR 및 SLV입니다.
(3) PPLT ETF의 보유 종목은 백금 덩어리, SIVR, SLV 두 펀드의 보유 종목은 은 덩어리입니다.

인버스 및 레버리지 ETF와 운용자산(AUM)이 5천만 달러 미만인 펀드를 제외하고 미국에서 거래되는 금 은 ETF는 15개가 있습니다. 귀금속 광산 회사 주식이 아닌 실물 귀금속에 투자합니다.

1년 동안의 성과 : 0.1%
비용 비율 : 0.50%
연간 배당수익률 : N/A
3개월 평균 일일 거래량 : 24,335,584
관리 자산 : 132억 달러
상장일 : 2006년 4월 21일
발행사 : BlackRock Financial Management


SLV 는 투자자를 대신하여 실물 은을 ETF로 하는 법 보유하는 양도자 신탁입니다. 이 신탁은 투자자들에게 은괴 가격의 일일 변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선물 계약을 활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할 때 펀드는 백워데이션이나 콘탱고의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SIVR과 마찬가지로 시장 침체기 동안 안전한 피난처 느낌이 들어서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SLV의 단일 보유는 입니다.

1년 동안의 성과 : 0.3%
비용 비율 : 0.30%
연간 배당수익률 : N/A
3개월 평균 일일 거래량 : 536,642
관리 자산 : 10억 달러
상장일 : 2009년 7월 24일
발행사 : abrdn(구 Standard Life Aberdeen)


SIVR 은 투자자를 대신하여 금고에 보관된 실물의 은에 투자를 하는 ETF입니다. 실물의 은만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 펀드는 선물계약을 활용하지 않습니다.

다른 미국 금 은 ETF 주식 종목과 마찬가지로 SIVR은 시장이 불확실할 때 안전한 투자 종목이 될 수 있지만 장기 투자로는 별로일 수 있습니다. SIVR의 단일 보유는 입니다.

1년 동안의 성과 : 22.0%
비용 비율 : 0.60%
연간 배당수익률 : N/A
3개월 평균 일일 거래량 : 122,395
관리 자산 : 13억 달러
상장일 : 2010년 1월 8일
발행사 : abrdn(구 Standard Life Aberdeen)


PPLT 는 양도자 신탁으로 구성되어 투자자 세금 보호를 제공합니다. 백금덩어리의 ETF로 하는 법 현물가격을 추적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플래티넘은 투자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귀금속이며 PPLT는 선물계약, 개별 플래티넘 코인 및 플래티넘 광산 회사의 주식을 제외하고 플래티넘 노출을 위한 유일한 옵션 중 하나입니다. 플래티넘은 자동차 산업과도 상관관계가 높기 때문에 순환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PPLT의 백금 금괴는 런던의 금고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미국 금 은 ETF 주식 종목을 찾으신다면 개인적으로 괜찮은 종목이라 생각합니다. 금속은 할당된 막대에 보관되며 막대 목록은 매일 게시됩니다.

해외 주식 추천 콘텐츠

파월 의장 연설 요약 : 높은 인플레이션 심각한 위협

파월 의장 연설 요약 : 높은 인플레이션 심각한 위험 안녕하세요? 인플루언서 초록괴물입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은 미 상원 은행위원회와의 청문회에서 높은 인플레이션 미국

2022년 미국 주식 ETF 추천 TOP 5

2022년 미국 ETF 추천 TOP 5 안녕하세요? 인플루언서 초록괴물입니다. 2021년에는 어떤 미국 주식 ETF가 가장 수익률이 좋았을까요? 이번 통계를 보니 대부분 아는 종목이었는데요. 내년에도 수익률이

소득 잉꼬 금 ETF 투자자 (GLDI, GLD)를위한 3 개의 eTF

소득 잉꼬 금 ETF 투자자 (GLDI, GLD)를위한 3 개의 eTF

많은 사람들이 금메달에 더 많은 자산을 투자하여 불확실한 경제시기에 대응합니다. 금은 전통적 금융 시장에 역사적으로 부정적이거나 낮은 긍정적 상관 관계가 있기 때문에 다양 화 이익을 제공합니다. 다른 자산과 종이 통화가 가치를 잃는 경향이있는 반면, 시장 변동성 기간에는 가치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금괴는 인플레이션, 거시적 인 위험 및 지정 학적 위험에 대비하여 헤지하기 때문에 개인 투자자, 기관 및 심지어 국가는 역사적으로 금을 자신의 부의 안전한 피난처로 여겼습니다.

상당량의 금 기반의 상장 자금 (ETF)을 즉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는 금괴를 금고에 보관하는 것에 대해 걱정할 필요없이 실제 금을 소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많은 금 ETF는 유동성이 높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사고 팔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많은 양의 금을 소유하는 것이 아주 쉬웠던 시대는 한번도 없었습니다. 많은 개인과 ETF로 하는 법 단체가 포트폴리오의 일부를 금에 배분하지만, 금 기반 투자의 대부분은이자 나 배당금을 지불하지 않습니다. 실제 금속은 보관 중이며 아무 것도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은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나 관심과 배당금을 지불하는 금과 금 관련 투자가 몇 가지 있으며, 다음은 2016 년 3 월 14 일을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3 가지 투자입니다.

ETN (Nasau Credit Suisse X-Links Gold)는 ETN (NASDAQ : GLDI

GLDICS 나스 풀 크레딧 스위스 X- 링크 골드) 2013-2 2. 33 Sr Lkd to CS NASDAQ 금 흐름 103 Indx8. 99 + 0. 68 %

Highstock 4. 2. 6

로 만든)는이 범주에서 직접적이고 순수한 금 괴에 노출. Credit Suisse 나스닥 골드 플로우 103 지수의 수익과 관련이있는 ETN (exchange-traded note)입니다. 금 자체는 수익을 내지는 않지만이 ETN은 수익을 창출합니다. 첫째, 펀드는 SPDR 금주 (NYSEARCA : GLD GLDSPDR Gold Trust121.65 + 0.85 % Highstock 4. 2. 6 로 창설 됨) 주식의 명목상으로 긴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약 300 억 달러의 자산 운용 자산 (AUM)과 798 톤 이상의 금괴를 보유한 세계 최대의 금 ETF입니다. 둘째,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ETN은 SPDR Gold Shares ETF 포지션에서 매월 통화 옵션을 매월 판매합니다. 통화 판매로 얻은 순 보험료는 매월 투자자에게 지급됩니다. ETN의 수익률은 무려 9.0 %이며, 52 주 수익률은 10 달러 다. 20 ~ 12 달러. 주당 06. 글로벌 X 골드 익스플로러 ETF 글로벌 엑스 골드 익스플로러 ETF (NYSEARCA : GLDX GLDXGlbl X Gld Exp22.08 + 2. Highstock 4. 2. 6

)는 가장 활동적이고 가장 유동적 인 상장 회사의 성과를 추적하기 위해 구성된 Solactive Global Gold Explorers 지수의 성과에 따라 투자 결과를 제공하고자합니다. 금을 적극 탐구해라. 이 기금은 금 탐험 회사에 중점을두고 금을 간접적으로 노출시키는 독특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 회사들 중 상당수는 상당한 수의 예금을 찾지 못했지만 성공할 때 유리한 제안을 할 수 있습니다. 이 ETF로 하는 법 펀드는 금 탐사 회사에 투자하는 것이 초기 위험 투자 / 벤처 캐피털 투자와 유사한 높은 보상 제안이라고 지적합니다. 펀드의 수익률은 8.95 %이고 52 주 수익률은 14 달러입니다. 58 달러에서 24 달러. 주당 22. 현재 22 명의 금 탐험가에 투자 중이다.

Sprott Gold 광부 ETF Sprott Gold 광부 ETF (NYSEARCA : SGDM SGDMSprott Gold20.48 + 2.40 % Highstock 4. 2. 6

Grayscale, Bitcoin 회사 주식 기반 ETF 출시

회색조.png.webp

디지털 자산 관리자인 Grayscale Investments는 제품 라인에 비트코인 ​​및 기타 암호화폐를 추가한 회사의 주식을 기반으로 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했습니다.

새로운 것을 할 준비가 되셨습니까? Grayscale Investments의 첫 ETF $GFOF를 만나보십시오. https://t.co/2c0Ot0Rne7 pic.twitter.com/ZLHf23xkWj

— 그레이스케일(@Grayscale) 2022년 2월 2일

GFOF 시세 아래에 있는 “Future of Finance” ETF는 뉴욕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Grayscale Investments는 2021년 11월에 도구 출시 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

ETF의 구성은 22주를 보완합니다. Silvergate Capital(8.38%), PayPal Holdings(8.ETF로 하는 법 37%), Coinbase Global(8.24%), Block(7.85%) 및 Robinhood Markets(7.71%)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GFOF 바구니에는 MicroStrategy 및 Tesla와 같은 회사의 증권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ETF가 운용하는 펀드의 62.3%가 금융기관 주식에 투자되고 나머지는 디지털 자산을 위한 인프라 솔루션에 투자된다.

Grayscale Investments는 디지털 자산 결제 시장의 용량이 2026년까지 11조 3천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합니다.

2021년 12월, SEC는 회사의 현물 비트코인 ​​ETF 출시 신청 결정을 연기했습니다. 그레이스케일은 디지털 금 기반 신탁을 최초의 암호화폐 기반 상장지수펀드로 전환하기 위해 10월 19일 신청서를 제출했다.

10월 말에 규제 당국은 VanEck, Valkyrie Investments, ProShares의 비트코인 ​​선물 기반 ETF 출시 신청을 승인했습니다. 그레이스케일 인베스트먼트는 SEC의 결정이 “자의적이며 불법적”이라고 말했다.

앞서 위원회는 볼트 에쿼티가 “비트코인 산업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는” 회사 주식을 위한 상장지수펀드(ETF) 출시 신청을 승인했다.

Telegram에서 ForkLog 뉴스 구독: ForkLog Feed – 전체 뉴스 피드, ForkLog – 가장 중요한 뉴스, 인포그래픽 및 의견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