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무역투자24 - 사업신청 홈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신청 방법

삼정KPMG “유망 기업 발굴·투자에 CVC 활용해야”

최근 신규 사업과 새로운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기업주도형 KOTRA 무역투자24 - 사업신청 홈 벤처캐피털(CVC, Corporate Venture Capital) 설립에 나서는 기업이 늘고 있는 가운데, 미국 내 CVC 투자가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정KPMG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글로벌 CVC 분석 리포트)에서 글로벌 CVC 489개의 운영 현황을 조사했다. BMW 아이벤처스(iVentures), 유니레버 벤처스(Unilever Ventures) 등 글로벌 CVC의 설립 국가부터 조직 구성, 투자 분야, 투자 포트폴리오 등을 분석했다.

CVC란 일반 기업이 재무적·전략적 목적을 가지고 벤처 기업에 투자하기 위해 출자한 벤처캐피털(VC)을 의미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CVC 489개 중 43.5%(213개)가 미국에 설립됐고 미국 내에서도 벤처 생태계가 잘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밸리에 CVC 설립이 집중됐다. 대부분은 모기업과 CVC, 벤처 기업 간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본사와 근접한 곳에 CVC 조직을 설립했지만, 일부는 런던, 싱가포르, 베이징 등 해외 혁신 허브에 CVC를 설립하기도 했다.

글로벌 CVC의 모기업 업종을 살펴봤을 때, ICT 분야의 CVC가 136개로 전체의 27.8%를 차지했다. 그 외, 금융업(22.7%), 헬스케어(11.9%), 에너지·화학(8.8%), 소비재(6.5%) 등의 기업도 CVC 투자에 활발한 것으로 확인됐다.

글로벌 CVC의 평균 설립 연도는 2012년이었으며, 2015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CVC 설립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86.8%의 CVC는 10명 이하로 구성돼 있었고, 선제적으로 유망 기업을 발굴하고 적시에 투자하기 위해 민첩한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글로벌 CVC들이 선호하는 투자 분야로는 ▷소프트웨어 ▷TMT(Technology, Media, Telecommunications) ▷SaaS(Software-as-a-Service) ▷IoT(사물인터넷) ▷AI(인공지능) ▷빅데이터 ▷핀테크 ▷디지털 헬스 등 기술과 관련된 분야가 다수였다. 대부분의 CVC들은 모기업의 사업 전략과 기술 로드맵에 따라 기업이 성장해 나가면서 필요한 자원을 CVC를 통해 확보해 나가고 있다.

글로벌 CVC들은 최근 2년간 12.2건의 딜을 KOTRA 무역투자24 - 사업신청 홈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24.7개의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020년 1월부터 10월까지 CVC들은 평균 5건의 딜을 진행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도 투자를 지속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보고서는 국내 CVC 시장이 해외와 비교했을 때 아직 활성화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고 거론하며, 그 배경으로 규제 이슈, 기업의 보수적 투자 성향, 그리고 계열사 간 복잡한 의사결정 구조를 꼽았다. 하지만 지난해 말 일반지주회사가 제한적으로 CVC를 보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이 통과되는 등 CVC의 역할이 재조명되며 CVC가 주도하는 투자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CVC 설립을 통해 유망한 벤처·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방안은 새로운 분야를 탐색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으며, 기업이 성장해 나가면서 필요한 자원들을 CVC 투자를 통해 확보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성공적인 CVC 투자를 위해서는 모기업의 사업 분야, 진출 시장, 기술 로드맵 등을 고려해 CVC를 통해 확장할 수 있는 투자 분야 선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한, CVC를 통한 투자, M&A, 파트너십 등 다양한 협력·벤처링 수단의 효과성을 검토하고, 투자 대상 기업의 라이프사이클을 고려해 투자 단계 및 규모, 투자 기간을 설정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삼정KPMG 스타트업지원센터 김이동 전무는 “국내 기업들이 CVC를 통해 기업의 탐색 기능과 양손잡이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며 “CVC 투자 과정에서 습득한 인사이트를 모기업 내부 사업부와 긴밀히 연계하는 CVC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김 전무는 “스타트업의 초기 단계에서는 CVC를 통해 지분투자를 하고, 라운드를 거쳐가며 새로운 시너지를 줄 수 있는 투자자를 모색하고 기업과 사업적 관계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호 투자단계

싱가포르 Big Idea Food Competition (Asia Edition)

개요

​당신은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제품을 만들고 있거나, 회사를 운영하고 있습니까?

만약 당신이 식물 기반 또는 발효 기반의 대체육, 해산물 혹은 유제품을 만들고 있다면 서둘러 지원해 주세요!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새로운 단백질에 초점을 맞춘 식품 스타트업이 있다면 주최측은 기꺼이 지원할 것입니다.

Informa Markets와 협업을 통해 진행되는 본 프로그램은 올해 아시아 6개국에서 개최되며, 결승전은 2023년 4월 싱가포르에서 열리게 됩니다.

또한, 세계 각지에서 활동 중인 기업, 식품 리더, KOTRA 무역투자24 - 사업신청 홈 전문가, 투자자들을 초청하여 본 프로그램을 더욱 빛나게 할 예정입니다.

이 대회는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회기간동안 여러분의 사업을 발전시키고, KOTRA 무역투자24 - 사업신청 홈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식품업계의 전문가와 심사위원들에게 제품을 알려보세요!

배경

Phase I: 국가별 경선

각 국가별 우수 스타트업 5개사를 선정할 예정입니다.

국가별로 선정된 5개의 우수 스타트업들은 결승전에 참여하도록 요청될 것입니다.

한국, 태국, 일본, 인도네시아는 온라인으로, 싱가포르와 중국은 오프라인으로 국가별 대회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Phase II: 국제 결승전

결승전은 2023년 4월에 싱가포르에서 개최됩니다.

각 국가별 대회의 우승자들은 업계 심사위원들과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을 대상으로 피칭을 하고, 제품을 소개하게 됩니다.

결승에 진출한 스타트업은 출품한 제품과 피칭에 따라 평가받게 됩니다.

타임라인

- 2022년 8월 1일: 신청 마감

- 2022년 9월 5일: BIFC 런칭

- 2022년 9월 ~ 11월: 국가별 경선 (한국은 10월 KOTRA 무역투자24 - 사업신청 홈 19일 온라인 개최 예정)

- 2022년 12월 1일: 파이널리스트 발표

- 2023년 4월: BIFC 파이널 피칭

자격 요건

- 식물 및 발효 기반의 육류, 해산물 또는 유제품을 생산하는 스타트업

- Pre-Seed나 Seed 단계의 스타트업

- 참가 국가 중 하나에 사업자를 가지고 있을 것

- 파일럿 단계에서 부터 수익실현 단계의 스타트업에 이르기까지 모두 환영

- 50만 달러 이상의 기관 투자가 없을 것

- 파일럿 단계의 제품을 보유할 것

- 안전 인증을 통과한 제품이여아 하며, 섭취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

- 본 프로그램 중 시연하고, 테스트하는데 충분한 제품이 있을 것

- 2023년 1분기 결승전 이전에 BIG Idea Ventures(BIV)의 포트폴리오에 포함돼서는 안될 것

최종 선정 시 BIV 지원

- 2023년 본 프로그램의 결승전을 위한 여행 후원 및 4일간의 대체 단백질 프로그램 참여

- 취리히의 TasteLab에 워크샵을, 영국의 Classic Fine Foods에서 피칭 진행

- 싱가포르의 Saladstop! 지점에서 3달간 제품 진열

- 식물 기반의 B2C 마켓플레이스인 GoodFoodPeople에서 계정 지원

- 본 프로그램의 후원사인 Saladplate에서 비즈니스 매칭 지원

선호 협업 유형

투자, BIV Cohort #8 Accelerator 진입 기회

신청 방법

[email protected] 으로 접수완료 메일 발송(미발송시 향후 KOTRA 지원 서비스 이용 불가)

문의처

Daum 블로그

벤처투자기관의 투자 라운드(Seed money → Series A → Series B → Series C → Series D )

벤처투자기관의 투자 라운드(Seed money → Series A → Series B → Series C → Series D )

투자 단계 (시리즈 A, 시리즈 B, 시리즈 C)

기업이 투자를 받는데 각각의 투자 단계가 있음

시드머니, 시리즈 A, 시리즈 B, 시리즈 C 등 여러 단계가 있는데 회사의 성장 규모와 목적에 따른 투자 단계를 알아보도록 함

일반적인 벤처투자기관의 투자 라운드(Seed money → Series A → Series B → Series C → Series D )가 진행됨

시리즈 A는 1st Round, 시리즈 B는 2nd Round, 시리즈 C는 3rd Round로도 불림

기업 성장에 따라 스타트업이 투자를 받게 됨

투자를 받지 않는 스타트업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창업자가 자체적으로 자금을 동원하여 아이디어의 구현을 하더라도 자금이 더 필요하게 되기 때문임

startup financing cycle

시드 펀딩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시드머니(영어: Seed money)는 투자자가 비즈니스의 일부를 매입하는 투자를 제안하는 형태

시드(seed)라는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비즈니스의 매우 초기 단계에 집행하는 투자이며, 시드머니는 수익이 발생하거나 다른 투자를 받을 때까지 자금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

시드머니는 친구나 가족의 투자, 에인절 투자, 크라우드 펀딩을 포함

창업 2 ~ 5년 KOTRA 무역투자24 - 사업신청 홈 차 스타트업 대상의 10억 원 ~ 20억 원의 투자규모 (Case by case)

프로토타입 or 서비스 베타를 제품 또는 정식 서비스로 발전시키려는 목적으로 펀딩을 진행(보통 프로토타입 개발부터 시장 공략 직전까지 받는 투자)

실제 이 단계에서 사업을 활성화하여 시장에서 이러한 제품이나 서비스가 통한다는 것을 증명

어느 정도 초기 시장 검증을 마친 뒤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정식으로 출시하기 전 투자 유치가 진행됨

펀딩을 진행하게 되면 회사 가치(Corporate Valuation) 인정을 잘 받을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많은 자금을 펀딩 받는 것보다는 정식 제품 및 서비스를 론칭할 수 있을 정도의 자금을 확보

에인절 투자자가 주로 투자함

30억 ~ 100억의 투자규모 (Case by case)

제품이나 서비스가 시장에서 어느 정도 가능성을 증명하게 되면 제품이나 서비스 최종 버전을 완성하고 목표로 한 1차 시장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투자를 하는 단계

보통 마케팅 비용과 제품/서비스 실질적 오퍼레이션을 위해 필요한 KOTRA 무역투자24 - 사업신청 홈 비용 등이 필요

빠른 회사인 경우에는 이 단계에서 글로벌 일부 국가로 확장하는 목표 설정

회사 상황에 따라 시리즈 B에서 펀딩을 끝낼 것인지 시리즈 C까지 한번 더 갈 것인지 신중하게 결정 필요

100억 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 (Case by case)

제품이나 서비스 정식버전 출시 후 이미 검증된 모델을 글로벌화하거나 연관사업을 추진하여 대규모 수익(Revenue)을 창출하여 공개시장 상장(IPO) 또는 M&A 등을 현실화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자금을 조달 (안정된 사업의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해외 진출 등 성장 속도를 높이기 위한 투자)

보통 이 단계까지 성장한 회사들은 높은 회사가치(Corporate Valuation)를 인정받을 수 있으나, 추가적인 투자를 받고자 결정했을 경우에는 투자자들이 Exit 할 때 어느 정도 투자수익이 있을 수 있도록 투자조건은 조율 필요

벤처캐피털, 헷지펀드, 투자은행에서 주로 투자함

투자자들에게 보상을 해주기 위해 공개시장 상장(IPO)을 하거나, 대기업에 인수됨

창업자와 투자자(VC)는 이를 통해 투자금을 회수하고 이중 상당수가 다시 창업 혹은 투자로 순환됨

VC가 사업을 분석할 때 여러 가지 요소 검토

매출 퀄리티, 마진율, 운영 비용(OPEX), 자본적 지출(CAPEX) 등 보다도 먼저 신경 써야 하는 기본 개념들이 있음

현금 유입, 현금 지출 및 마일스톤 달성 여부

벤처캐피털이 확인하고 싶은 건 투자 유치 규모 및 유치하려는 규모가 현실적으로 가능한 숫자인지 여부 검토

투자자는 유치한 투자금을 바탕으로 회사가 얼마나 버틸지, 그리고 이 기간이 투자 리스크를 감수할 만큼의 설득력이 있는 기간인지 등을 확인하고 싶어 함

투자자가 또 알고 KOTRA 무역투자24 - 사업신청 홈 싶어 하는 다른 한 가지는 이번 투자 사이클이 끝날 무렵 회사는 어느 수준에 도달할지 여부 검토

왜냐하면 회사의 성장 수준에 따라서 후속 투자 유치 라운드가 영향받기 때문임

투자기간은 2년 뒤에 다시 투자 유치를 해서 그 사이에 회사가 거둔 성장을 분석한 후 다음 라운드에 투자하는 것을 선호함

이후에도 시리즈 D 등등이 이어짐

각 라운드가 넘어갈 때마다 리스크는 줄어들며 사업 가능성은 높아지기 때문에, 더 많은 수익을 회수할 수 있다는 기대로 점점 더 큰 투자가 이루어지게 됨

선호 투자단계

지난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 걸린 현황판에 표시된 나스닥 주가 그래프가 급격한 하락세를 그리고 있다. 최주연 기자

요즘 스타트업 대표들을 만나면 가장 많이 얘기하는 것이 기업가치를 평가절하하는 디밸류에이션(devaluation), 즉 'D의 공포'다. 벤처투자업체(VC)들은 스타트업에 투자할 때 성장성을 감안해 기업가치를 결정하고 여기에 맞춰 금액을 투자한 뒤 적절한 지분을 가져간다. 그런데 VC가 기대보다 가치를 낮게 평가하면 투자금이 줄고, 적은 돈으로 지분을 많이 가져가려 든다. 심지어 아예 투자를 철회하기도 한다.

뜨거웠던 스타트업 투자가 얼마 전부터 냉정하게 바뀐 것은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 우려 때문이다. 코로나19가 무섭게 확산될 때 주가가 올랐던 넷플릭스, 디즈니, 아마존, 애플 등은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우려 속에 주가가 급락했다. 아마존은 지난해 7월 대비 40% 이상 주가가 하락했고, 애플도 올들어 17% 이상 주가가 빠졌다. 주당 700달러에 육박했던 넷플릭스 주가는 200달러 밑으로 곤두박질쳤고 미국 증시에 상장한 쿠팡도 장중 한때 69달러를 찍었던 주가가 10달러대까지 떨어졌다.

IT주식의 하락과 함께 미국이 한꺼번에 0.5%포인트 금리를 올린 것도 스타트업 투자에 영향을 미쳤다. 금리가 오르자 VC들이 투자금 조성을 위한 투자자 모으기가 힘들어졌다. 일부 미국 스타트업들은 돈줄이 마르며 인력 감축에 나섰다는 후문이다.

국내 VC들도 스타트업에 투자할 때 중요하게 보는 것들이 달라졌다. 지금까지 규모를 우선하는 스케일업 투자를 했다. 즉 투자 대상인 스타트업이 적자여도 매출이나 시장 크기 등 볼륨을 중요하게 따졌다.

하지만 이제는 달라졌다. 더 이상 볼륨보다 수익 관련 실적과 시장 전망 등 지표를 따지는 투자로 방향이 달라졌다. 그렇다 보니 당장 실적을 내기 힘든 기반 기술을 연구하는 딥 테크나 투자금이 수익으로 돌아오기까지 회수 기간이 긴 바이오 분야 스타트업들은 예전보다 투자를 받기 어려운 분위기다.

또 VC들은 투자 단계에서 시리즈 B나 C보다 A단계의 스타트업들을 선호하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 시리즈 A 투자는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하는 단계에서 받고, 시리즈 B와 C 투자는 국내외에 걸쳐 사업을 본격 확대할 때 받는다.

VC들이 시리즈 A를 선호하는 이유는 사업 초기단계여서 큰 금액을 투자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반면 시리즈 B나 C는 시리즈 A보다 많이 투자해야 하는 부담이 따른다. 뿐만 아니라 VC들은 시리즈 B나 C 투자를 하면 해당 스타트업이 2, 3년 내 상장이나 매각을 통해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런데 요즘처럼 증시가 좋지 않아 SK쉴더스, 원스토어처럼 기대를 받던 기업마저 상장을 철회하는 분위기라면 더더욱 시리즈 B와 C 투자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그래서 스타트업들은 대단한 기술이 아니어도 당장 수익을 낼 수 있는 서비스 분야의 기업들만 투자를 받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한다. 아닌 게 아니라 일부 VC들은 여행이나 레저 등 코로나19 방역이 느슨해지면서 상황이 달라지는 KOTRA 무역투자24 - 사업신청 홈 스타트업들을 눈여겨보고 있다.

이렇게 되면 스타트업들의 투자 유치 시기가 관건이다. 그래서 스타트업들 사이에 돈이 마르는 투자 기근이 오기 전에 서둘러 투자를 받으라는 말이 돈다. 다만 한국은 미국과 달리 중소벤처기업부를 중심으로 정부에서 스타트업 지원 예산을 마련해 VC들을 거쳐 집행하는 특수 상황을 감안해야 한다. 관련 투자가 3분기 이후 본격화되는 것을 감안하면 투자 기근이 미국보다 늦게 올 수 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