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증권사 수수료 비교 및 순위 정리 (증권사 추천 Top5)
증권사별 해외(미국) 주식 거래 수수료 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1위는 한국투자증권으로, 0.2%입니다.
Top 1~10위
순위 | 플랫폼 | 미국 | 중국(상해) |
1 | 한국투자 | 0.20% | 0.30% |
2 | 나무 | 0.25% | 0.30% |
3 | NH | 0.25% | 0.30% |
4 | KB | 0.25% | 0.30% |
5 | 신한 | 0.25% | 0.30% |
6 | 미래 | 0.30% | 0.30% |
7 | 삼성 | 0.25% | 0.30% |
8 | 대신 | 0.25% | 0.30% |
9 | 하나 | 0.25% | 0.30% |
10 | 키움 | 0.25% | 0.30% |
포브스 선정 많이 사용한 앱 및 빅데이터 평판 순위
포브스 선정 많이 한국인이 2021년 많이 사용한 앱 순위
포브스에서는 각 영역별로 2021년에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앱 순위를 발표했고, 금융 부문에서 증권사들은 대거 순위권에 포함되었습니다. 이는 다운로드한 사용자 수와 실 사용자수를 종합하여 정한 순위입니다.
- 업비트
- 토스
- 카카오 뱅크
- 모바일 증권 나무
- 미래에셋증권 m.stock
- 키움증권 영웅문 S
- KB증권 M-able
- 삼성증권 mPOP
- NH투자증권 QV
- 신한금융투자 알파
빅데이터 평판 순위
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서 2021년 12월 빅데이터 분석 결과 발표한 수치입니다.
증권사 추천 Top 4
수수료 및 유명 저널의 평가 데이터 등을 토대로 정한 추천 순위입니다.
Top 1~4
추천 증권사는 키움증권, 삼성증권, KB증권, 토스 증권입니다.
[키움증권]
명실상부하게 개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증권 어플입니다. 개인들이 종목을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 검색할 수 있는 전문적인 기능이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수수료 및 해외주식 이벤트 등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어, 금전적으로도 가장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증권사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처음 느끼기에는 조금 난잡하고 사용이 어려워 보이는 UI를 가지고 있지만, 익숙해지면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고 직관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삼성증권]
이름 자체로 믿음이 가는 증권사입니다. 해외주식 이벤트나 국내 주식 수수료 이벤트도 지속적으로 하고 있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 주식, 해외주식을 하나의 MTS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큰 장접입니다. 그리고 전문가 리포트 등도 퀄리티 높은 자료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KB증권]
큰 손들이 많이 선택한 증권사로 유명합니다. 그만큼 시스템이 안정적이고 오류 없이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수수료 및 이벤트 면에서도 다른 증권사에 비해 그다지 부족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공모주 주관을 꽤 많이 하는 증권사로, 고객 등급을 올려놓으면 배정받는 수량을 늘릴 수 있으므로, 선택하셔도 후회 없는 증권사입니다.
[토스 증권]
이제 막 서비스를 시작한 증권사입니다. 하지만 토스에서 운영하는 증권으로, 기존 증권사들과 차별화를 가져가고 있습니다. 매수, 매도 등 주식 전문 용어가 아닌, 사기, 팔기 등 용어부터 변화시켰고,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정보를 사용자 입장에서 알려줍니다.
그리고 파킹 통장 무제한 2% 금리 제공 등과 마찬가지로 증권 쪽에서도 많은 혜택을 앞으로 제공하는 등 공격적인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맺음말
이로써, 국내 주요 증권사의 국내 주식, 해외주식 거래수수료부터, 빅데이터 평판 순위, 포브스 선정 많이 사용한 증권사 순위를 알아봤습니다. 이로써 추천하는 증권사는 키움증권, 삼성증권, 키움증권이고, 그 밖에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등도 사용하기에 전혀 부족하지 않은 증권사입니다.
증권사 수수료 비교 (2022년)
오늘은 증권사 수수료 비교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주식 거래할 때 발생하는 비용의 종류를 알아보고, 국내와 해외 주식 거래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를 증권사별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국내 주식 증권사 수수료 비교
○ 해외 주식 증권사 수수료 비교
1. 주식 거래 비용 종류
국내 주식시장에서 거래할 때는 '증권사 수수료, 유관기관 비용, 증권 거래세' 이렇게 3가지 종류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 증권사 수수료 : 매수/매도시 증권사에 내는 수수료
- 유관기관 비용 : 매매에 관여하는 기관에 내는 비용(매수/매도 시 발생)
- 증권 거래세 : 매도시 발생하는 세금
이중 유관기관 비용 차이는 소수점 세 자리에서 발생할 만큼 미미합니다. 1억 원을 거래해도 천 원 정도 차이나는 수준이라서 크게 신경 쓸 필요 없고요.
증권 거래세는 세금이기 때문에 어느 증권사를 이용하든 동일하게 냅니다. 참고로 2023년부터는 증권거래세가 소폭 인하될 예정입니다.
- 코스피 : 0.23% (2023년부터 0.15%)
- 코스닥 : 0.38% (2023년부터 0.30%)
- 코넥스 : 0.25% (동일)
- 기타 : 0.58% (2023년부터 0.50%)
따라서 실제 주식 거래비용은 증권사 수수료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데요. 주식을 사고팔 때 발생하는 수수료를 증권사별로 비교해보겠습니다.
2. 국내 주식 증권사 수수료 비교
우선 국내 주식 거래할 때 발생하는 증권사 수수료를 표로 정리해봤습니다. 모바일 어플 등 MTS 거래 기준이며, 소수점 세 자리 이후는 반올림했습니다.
현재 국내 주식 수수료가 가정 저렴한 증권사는 NH투자증권입니다. 나무(NH투자증권 MTS)를 이용하면 0.01%의 수수료만 내면 됩니다.
IBK는 조금 독특한 수수료 체계를 갖고 있는데요. 원래는 0.1%의 수수료를 적용하지만, 계좌 관리비를 내면 매매 수수료가 완전 면제입니다.
※ 계좌 관리비 : 매일 주식 평가금액의 0.007% 부담. 일주일 동안 1억원의 주식을 갖고 있다면, 49,000원(1억 원 x 0.007% x 7일)의 계좌 관리비 부담
만약 포지션이 크지 않고 매수·매도가 잦은 단타 거래 위주라면, 계좌 관리비를 내고 수수료를 면제받는 것도 괜찮아 보이네요.
또한 한화투자증권 같은 경우 수수료가 원래 0.15%지만, 제휴채널(증권플러스)을 통해 거래하면 0.015%의 저렴한 수수료를 적용받습니다.
마지막으로 삼성증권의 경우, 유일하게 아직까지 MTS 거래에도 금액별 차등 수수료율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거래 금액별 세부 수수료율은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밑에 남겨둔 메뉴 위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온라인(MTS나 HTS)으로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시장에서 거래할 때 적용되는 일반적인 수수료율이고, 창구 거래나 선물 거래 등 상세한 수수료 정책은 증권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수료 완전 면제 등의 이벤트도 종종 하기 때문에, 계좌를 만들기 전에 증권사별 이벤트 내용도 확인해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3. 해외 주식 증권사 수수료 비교
해외주식 거래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는 나라마다 조금씩 다른데요.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 투자의 경우 한국투자증권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증권사가 0.25%로 비슷합니다.
- 한국투자증권 : 0.20%
- 그외 증권사 : 0.25%
다만 수수료 우대 이벤트가 자주 있어서 실제 저 수수료를 내는 경우는 거의 없죠. 키움증권의 경우 이벤트가 1년 내내 진행 중이라, 사실상 수수료가 0.07%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증권 수수료 비교 총정리Ver.4-1
안녕하십니까 주식 소개해주는 남자 주소남입니다. 주식을 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증권(주식) 수수료 입니다.
2021년 초까지만 해도 증권 수수료 무료 이벤트 등이 많았는데, 현재는 증권 수수료 무료는 대부분 사라졌고, 이벤트성으로 일시적으로 유관기관수수료(약 0.0036396%)만 받는 곳도 있습니다.( 증권 수수료 이벤트 중인 곳은 별표로 표시 했습니다)
하지만 증권 수수료가 무료가 아니더라도 ISA 계좌 개설 등을 통해 증권 거래 수수료를 낮출 수 있고, 증권사 별로 증권 수수료를 비교해 어느 증권사가 수수료가 저렴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증권 수수료 체계는 일전의 국내 주식 수수료와 세금을 이해해 보자(Feat. 유관기관제비용)포스팅을 참고하시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니, 관련 자료를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국내 주식 수수료와 세금을 이해해 보자(Feat. 유관기관제비용)
주식 강의자료 주소남 유튜브(https://www.youtube.com/channel/UCRi5vsXnzty016Ju7We2g7g) 구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주식 소개해주는 남자 주소남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국내 주식 수수료와 세금을 정
증권 수수료 비교 총정리Ver.4-1(2022 무료 이벤트)
1. 키움증권(★)
대한민국에서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한다는 키움증권의 증권 수수료는 영웅문4, 영웅문Easy, 번개3, 영웅문S, 영웅문T plus, 웹트레이딩 모두 0.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015% 입니다.
키움증권은 3월 31일까지 이벤트 기간 내 신규 주식 계좌 개설 고객 또는 이벤트 시작일(1월 28일) 기준 6개월간 거래 무고객 및 주식 평가금액이 0원인 휴면 고객을 대상으로 증권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진행중입니다.
다만 비대면 계좌는 6개월 동안 한시, 비대면 외의 다른 계좌는 3개월만 증권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적용 받을 수 있습니다.
증권 수수료는 무료이지만 유관기관수수료인 0.0036396%만 부과하면 이외의 증권 수수료는 무료입니다.(세금이랑은 다릅니다. 위의 관련 포스팅 참조)
2. 미래에셋증권(★)
제가 주로 사용하는 미래에셋증권은 가입 매체에 따라 주식 수수료 체계가 다른데, 일반적인 신규 다이렉트로 가입할 경우 WTS와 HTS, 모바일, ARS 모두 0.014%의 수수료 가 부과됩니다. 키움증권보다 0.001% 저렴합니다.
미래에셋증권 역시 올해 초부터 3월 말까지 계좌개설 이벤트로 주식 수수료 평생 우대(유관기관비용 제외) 이벤트를 진행하고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있습니다.
최초 신규 및 주식 휴면고객, 다이렉트 비대면 주식계좌 신규 개설 고객을 대상으로 국내 주식 온라인 거래수수료는 0.0036396%로 평생 받을 수 있고 , 해외주식은 계좌 개설일로부터 90일까지 온라인 거래수수료 및 환전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3. 삼성증권(★)
삼성증권 증권 수수료는 거래금액 별로 차등을 두는데, 1천만원 미만일 경우 0.0147216% + 1,500원, 1천만원 이상 ~ 5천만원 미만 구간은 0.127216% + 3,000원의 증권 수수료가 부과되며, 5천만원 이상 ~ 1억원 미만일 경우 0.117216%의 주식 수수료가 부과 됩니다.
삼성증권도 비대면 계좌 개설 시 평생혜택 우대 수수료율을 제공합니다.
2022년 1월 이후 최초 신규 고객이거나 2019년부터 2021년 12월 24일 기간 내 주식 거래가 없으면서 2021년 12월 24일 삼성증권 보유계좌 총 잔고 10만원 미만 휴면 고객을 대상으로 0.0036396%의 평생혜택 우대 수수료율을 제공 합니다.
4. 대신증권(★)
대신증권 증권 수수료는 금액별로 차등 을 둡니다. 100만원 이하일 때는 0.1672959% + 700원의 증권 수수료가 부과되고, 2억원 초과시에는 0.0772959%의 증권 수수료가 부과되며, 이 외의 구간은 위와 같습니다.
대신증권도 증권 수수료 이벤트를 진행 하고 있습니다. 신청 직전 월 포함 6개월간 주식 거래 없는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3년간 'WELCOME HOME 수수료'를 적용하는데, 이는 유관기관제비용만 부과하는 것으로 0.0036396%의 증권 수수료만 부과 됩니다.
다만 3년이라는 유예 기간만 적용 되기 때문에 평생 무료 혜택을 제공하는 미래에셋증권이나 삼성증권에 비해서는 접근성이 떨어지고, 기본 증권 수수료도 높은 편입니다.
5. 한국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증권 수수료는 뱅키스, 다이렉트 계좌 개설시 HTS와 홈페이지, 모바일 자체 App 모두 0.0140527% 입니다.
영업점이나 비대면시 계좌관리점을 '한국투자증권 영업점계좌'로 선택한 경우, 출장방문을 통해 계좌 개설을 할 경우에는 위와 같은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한국투자증권도 증권수수료 이벤트를 진행 하고 있습니다. 2월 한 달동안 한국투자증권 주식계좌 최초 신규 고객을 대상으로 온라인 우대 수수료율 0.0036396%를 평생 우대 수수료 혜택 을 받을 수 있습니다.
6. NH투자증권 + 모바일증권 나무( ★ )
NH투자증권 온라인매매 수수료는 금액별로 차등을 두며 50만원 미만일시 0.4991639%의 비교적 높은 거래수수료가 책정 되어 있습니다.
모바일이나 스마트폰으로 NH투자증권 거래시 2백만원을 기준으로 미만이면 0.1971639% + 500원, 이상이면 0.1971639%의 증권수수료가 부과됩니다.
NH투자증권 자체로는 증권 거래 수수료가 비싼 편이지만, NH투자증권이 만든 모바일 증권거래서비스인 '모바일증권 나무'를 활용하면 증권 수수료를 줄일 수 있습니다.
모바일증권 나무를 활용할 경우 2018년부터 개설한 계좌는 나무 앱 거래시 정률수수료 0.01%가 부과되고,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 연계 증권 계좌는 0.015%의 증권 수수료가 부과 됩니다.(2018년 이전에 개설한 계좌는 나무 앱 증권 수수료가 0.0141639%입니다.)
모바일증권 나무 역시 비대면 계좌 개설시 위탁수수료 평생우대 혜택을 제공 합니다. 2023년 1월 31일까지 나무 비대면 계좌개설을 완료한 최초 신규고객을 대상으로 나무 온라인 매체(앱, HTS, 홈페이지)에서 주식 거래시 0.0043319%의 증권 수수료 평생 우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7. 신한금융투자(★)
신한금융투자 증권수수료는 금액별로 차등을 두며 300만원 초과 3천만원 이하의 경우 2,000원 + 0.1391639%의 증권 수수료가 부과되고, 모바일의 경우 거래 금액에 관계 없이 매매 금액의 0.1891639%의 증권 수수료가 부과 됩니다.
신한금융투자 역시 증권 수수료 이벤트를 진행중입니다.
2022년 안에 신한금융투자 생애 첫 계좌개설 신규 고객을 대상으로 비대면 CAM, 비대면 S-Lite+, 은행제휴 S-Lite(파운트 등 핀테크 제휴계좌 제외)를 개설하면 국내주식 수수료 평생 혜택이 적용 되는데, 유관기관 제비용만 부담해 0.00363960%의 증권 수수료가 부과 됩니다.
8. KB증권(★)
KB증권 기본 온라인트레이딩 수수료는 금액별로 차등을 두며, 1천만원 미만, HTS, 홈페이지로 거래시 0.1573% + 1,000원의 증권 수수료가 부과되고, 모바일 거래시에는 금액에 상관 없이 0.1973%의 증권 수수료가 부과 됩니다.
KB증권은 은행을 연계해서 계좌를 만드는 것이 유리합니다. 카카오뱅크를 통해 KB증권 연계계좌를 만들 수 있는데, 은행 연계 계좌시 HTS, 홈페이지 증권 수수료는 0.015%로 낮아지고, 모바일 거래시 0.12%의 증권 수수료가 부과 됩니다.
KB증권도 증권 수수료 평생 혜택 이벤트를 제공합니다.
3월 31일까지 계좌개설 후 평생수수료 혜택 신청을 하면 국내 주식 기준 0.0044792%의 증권 수수료로 평생 우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KB증권은 단타거래를 주로 하는 분들이 활용하면 좋을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누적 매개금액 달성 익영업일부터 국내주식과 온라인 거래 수수료 0% 혜택을 제공하는데, 5,000억원 이상 거래시 300일동안 유관기관 수수료까지 모두 무료로 이용 가능합니다.
5,000억원이 크게 보이지만 1,000만원으로 주식을 샀다 팔아도 매매금액은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2,000만원이 되기 때문에, 생각보다 크지 않습니다. 자산 비중이 조금 되고, 단타거래를 주로 이용한다면 활용해봐도 좋을 이벤트입니다.
9. 카카오페이증권(★)
올해 1월 새롭게 선보인 카카오페이증권은 온라인 수수료 0.015%를 책정 했습니다.
카카오증권은 2022년 4월 30일까지 신규계좌 개설시 국내와 해외 주식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진행 하고 있습니다. 4월 30일까지 유관기관 제비용을 포함해 수수료가 0원이지만 혜택 기간이 4월 30일까지라는 점이 조금 아쉽습니다.
10. 토스증권(★)
토스 증권 수수료는 매매거래대금의 0.15% 입니다.
토스 증권은 멤버십 형태로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매달 5,900원만 내면 유관기관제비용을 포함한 0.015%의 주식 수수료가 무제한 무료이고, 티몬이나 위메프 등 가맹점에서 6% 적립이 가능하는 등 혜택이 크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11. KTB투자증권(★)
KTB투자증권 증권 수수료는 HTS, 홈페이지, 스마트폰 모두 0.015% 입니다.
KTB투자증권은 신규계좌 개설 고객에게 주식 수수료 평생 혜택을 제공하는데, 0.005%의 증권 수수료를 평생 우대 혜택으로 제공 합니다.
12. 한화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증권 수수료는 금액별로 차등을 두어 1백만원 미만일 경우 0.4975%의 증권 수수료가, 3천만원 이상 ~ 5천만원 미만일 경우 0.1275% + 2,000원의 증권 수수료가 부과 됩니다.(HTS, 홈페이지 기준)
모바일의 경우 금액에 상관 없이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0.1500%의 증권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한화투자증권 역시 신규, 휴면 고객을 대상으로 평생 수수료 우대 혜택 이벤트를 진행중인데, 생애 최초 비대면 계좌 개설 신규고객 및 휴면고객(21년8월1일 - 22년 1월 27일 기간 내 최대자산 1백만원 미만)을 대상으로 평생 우대 수수료율 0.0040595%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증권 수수료 이벤트를 정리하다보니 포스팅 내용이 길어져 부득이하게 증권 수수료 비교 총정리Ver.4-1과 증권 수수료 비교 총정리Ver.4-2로 나누어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주식 수수료 비교 총정리Ver.4-2포스팅에서는 하나금융투자, IBK투자증권, 유안타증권, SK증권, 교보증권, 유진투자증권, 현대차증권, 신영증권, DB금융투자, 하이투자증권 등 중소형 증권사 위주로 증권 수수료를 안내해드리도록 하고, 향후 통합본을 만들어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수수료 비교 총정리Ver.4-2
안녕하십니까 주식 소개해주는 남자 주소남입니다. 지난 증권 수수료 비교 총정리Ver.4-1포스팅에 이어 당시 다루지 못한 개의 증권사 주식 수수료 비교 총정리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증
♥ ♥ ♥ 함께 보면 도움되는 자료 ♥ ♥ ♥
kb증권 비대면 계좌개설 방법(feat. 카뱅)
이 글을 가독성 좋은 애플리케이션(APP)으로 보기 안녕하십니까 주식 소개해주는 남자 주소남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 청약을 앞두고 대표 상장 주관회사인 KB증권 비대면 계좌개설 방법에 대해
신한금융투자 비대면 계좌개설 방법
이 글을 가독성 좋은 애플리케이션(APP)으로 보기 LG에너지솔루션 청약 첫 날 증거금이 20조원이 모였다고 합니다. LG에너지솔루션 공모주 청약을 할 수 있는 증권사 중 한 곳인 신한금융투자 비대
증권사 수수료 비교 (2022년 최신 기준)
주식 거래를 시작하려면 증권사를 선택해야 하는데요. 증권사를 고르는 수많은 이유 중에 아마 수수료가 가장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일 겁니다.
오늘은 증권사 수수료 비교를 해보려고 합니다. 증권사별로 국내 주식과 해외 주식 거래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를 정리해봤습니다.
1. 증권사 수수료 비교 - 국내 주식
2. 증권사 수수료 비교 - 해외(미국) 주식
3. 증권사 수수료 확인 메뉴 위치
1. 증권사 수수료 비교 - 국내 주식
먼저 국내 주식 거래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 비교입니다. 국내 주식을 사고팔 때 발생하는 수수료는 크게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증권사 수수료 : 매수·매도 시 발생
- 유관기관 비용 : 매수·매도 시 발생
- 증권거래세 : 매도 시에만 발생
이중 유관기관 비용은 비중이 매우 미미한 데다가 증권사별로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또한 증권거래세는 세금으로 모든 증권사가 동일하고요.
증권거래세 | 2022년 | 2023년 (인상) |
코스피 | 0.23% | 0.15% |
코스닥 | 0.38% | 0.30% |
코넥스 | 0.25% | 0.25% |
기 타 | 0.58% | 0.50% |
따라서 오늘은 매수·매도할 때 발생하는 증권사 수수료만 비교해보겠습니다.
핸드폰(MTS) 거래 시 증권사 수수료 비교
주식 거래 요즘은 핸드폰으로 많이들 하시죠? MTS 거래할 때 증권사 수수료를 비교해봤습니다. 참고로 소수점 셋째 자리 이하는 절사했어요.
증권사 | 수수료 | 비 고 |
NH투자증권 | 0.010% | 나무앱 이용시 |
한국투자증권 | 0.014% | 뱅키스 |
미래에셋대우 | 0.014% | |
토스증권 | 0.015% | |
키움증권 | 0.015% | 영웅문 |
KTB투자증권 | 0.015% | |
IBK투자증권 | 0.100% | ※ 계좌관리비 내면 전액 면제 |
한화투자증권 | 0.150% | |
신한금융투자 | 0.189% | |
KB증권 | 0.197% | |
대신증권 | 0.197% | |
삼성증권 | 0.077~0.497% | 거래금액에 따라 다름 |
2022년 기준, NH투자증권이 0.01%로 가장 저렴한 수수료를 받는 증권사입니다(나무 앱 이용 시).
IBK 투자증권이 조금 독특한데요. 보유 잔액(주식평가금액)의 0.007%를 매일 내면, 주식 매매수수료를 전부 면제 해줍니다.
거래액이 크지 않으면서, 매수·매도를 자주 하는 단타족들에게 유리한 방식일 것 같네요.
참고로 HTS로 주식 거래하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HTS는 보통 거래 금액에 따라 수수료가 다른 증권사가 많습니다.
또한 위 수수료는 코스피와 코스닥 기준인데요, 장외시장(K-OTC)이나 파생상품을 거래할 때 수수료도 조금 다릅니다.
증권사별 거래 방법·상품·금액에 따른 상세 수수료 정책 위치는 포스팅 하단에 자세히 남겨 두었으니 참고하세요.
2. 증권사 수수료 비교 - 해외(미국) 주식
해외주식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 주식 거래 수수료는 거의 모든 증권사가 0.25%로(2022년 기준) 비슷합니다. 한국투자증권만 0.20%로 조금 더 싸네요.
증권사 | 수수료 |
한국투자증권 | 0.20% |
NH투자증권 | 0.25% |
미래에셋대우 | 0.25% |
키움증권 | 0.25% |
한화투자증권 | 0.25% |
토스증권 | 0.25% |
신한금융투자 | 0.25% |
KB증권 | 0.25% |
대신증권 | 0.25% |
삼성증권 | 0.25% |
미국 주식 거래 수수료는 MTS와 HTS 이용 시 모두 동일하고요. 증권거래세가 없지만, 대신 SEC Fee라고 매도액의 0.00051% 정도 수수료가 추가로 부과됩니다.
이외에도 ADR Custodial Services Fee, ECN Fee 등 유관기관 비용이 추가적으로 붙기도 하는데 크게 신경 쓸 수준은 아닙니다.
참고로 일부 증권사에서는 주식계좌를 최초로 개설하면 수수료나 환율 우대 혜택을 일정 기간 제공하는데요. 아래 포스팅에 자세히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해보세요.
주식계좌 개설 이벤트 증권사별 정리
지난 시간 증권사 수수료 비교에 이어, 오늘은 주식계좌 개설 이벤트를 알아보겠습니다. 최신일 기준 증권사에서 진행 중인 이벤트를 표로 정리하고, 이벤트 세부 내용까지 살펴보도록 하겠습
해외 주식 환전 수수료 증권사별 정리(2022년)
오늘은 해외 주식 환전 수수료를 증권사별로 비교해봤습니다. 환율 우대가 무슨 의미인지 살펴보고, 주요 증권사별 환율 우대 정책을 정리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환전수수료 우대 시 실제 적용
3. 증권사 수수료 확인 메뉴 위치
증권사별 홈페이지에 접속해 아래 메뉴에 들어가면, 국내 주식 수수료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수수료 정책이 바뀔 경우 해당 위치에서 확인하시면 돼요.
- NH투자증권 : 고객센터 > 업무안내 > 수수료안내
- 한국투자증권 : 이용안내 > 처음방문고객안내 > 수수료안내 > 온라인매매
- 미래에셋대우증권 : 트레이딩 > 매매수수료/예탁금이용료 > (신규)다이렉트 > 주식
- 키움증권 : 전체메뉴 > 고객서비스> 이용가이드 > 수수료/증거금 > 주식
- KTB투자증권 : 고객서비스 > KTB이용안내 > 수수료안내
- KB증권 : 고객서비스 > 업무안내가이드 > 수수료안내
- 한화투자증권 : 고객센터 > 업무안내 > 수수료안내
- 신한금융투자 : 고객센터 > 업무안내 > 수수료
- 대신증권 : 고 객센터 > 업무안내 >수수료안내
- 삼성증권 : 고객센터 > 업무/상품 안내 > 수수료/예탁금 이용료 안내
- 토스증권 : 증권업무 > 수수료 및 증거금
거래 방식별(HTS, MTS, ARS, 영업점 거래) 수수료는 물론, 거래 상품별(코스피, 코스닥, 파생상품, 장외거래 등), 거래 금액별 수수료 정책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증권사별 해외주식 거래 수수료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도 정리해봤습니다. 국내 주식 수수료와 위치가 다른 곳이 제법 있습니다.
- NH투자증권 : 트레이딩 > 해외주식/선물 > 해외주식 투자가이드 > 거래시간/수수료
- 한국투자증권 : 트레이딩 > 해외주식 > 해외주식 거래안내 > 시장별 매매안내
- 미래에셋대우증권 : 트레이딩 > 매매수수료/예탁금이용료 > (신규)다이렉트 > 해외주식/파생
- 키움증권 : 전체메뉴 > 이용가이드 > 수수료/증거금 > 해외주식
- KB증권 : 트레이딩 > 해외주식/파생 > 해외주식 > 해외주식 거래안내 > 매매안내 > 거래수수료
- 한화투자증권 : 고객센터 > 업무안내 > 수수료안내
- 신한금융투자 : 고객센터 > 업무안내 > 수수료
- 대신증권 : 고 객센터 > 업무안내 >수수료안내
- 삼성증권 : 트레이딩 > 해외주식 >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해외주식 거래안내 > 해외주식 거래절차 안내 > 주문/수수료
- 토스증권 : 증권업무 > 수수료 및 증거금
마지막으로 증권사 수수료 비교 사이트를 하나 소개합니다.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 서비스라는 곳인데요.
증권사별 주식 거래 수수료를 한눈에 확인할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수 있고, 수수료 부과기준까지 파일로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지금까지 증권사 수수료 비교를 국내 주식과 해외 주식 거래할 때로 나눠서 정리해봤습니다. 증권사 선택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래요.
0 개 댓글